디자인 분야에서 한반도 통일에 대한 체계적 연구나 담론은 사실상 전무하다. 그간 작품 전시나 공모전 등의 단편적인 시도가 간간이 있었으나 학술 연구로 발전하여 체계화 되지는 못하였다. 이 연구는 통일 디자인 연구의 출발점이 되고자 한다. 연구의 궁극적 목적은 한반도의 통일 및 남북 주민 간의 통합을 위한 통일 디자인을 독자적인 연구 분야로 자리매김하고자 학적 체계를 수립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번 연구에서는 4개의 집단으로 구성된 총 12명의 유관 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의견을 수집하여 통찰을 도출하는 탐색적 연구(exploratory research)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통일 디자인의 분야 정체성, 역할, 가치, 북한 디자인과의 동일성 여부 및 관계, 학술적·사회적 기여도 및 연구 주제를 알아보았으며, 이로부터 나온 통찰을 바탕으로 통일 디자인의 정의와 연구 주제의 방향을 정리하였다. 디자인 씽킹, 사회적 디자인 및 ‘문제 해결(problem solving)' 로서의 디자인의 정의에 근간한 통일 디자인은 디자인의 확장적 진화의 선상에 있는 미래융합디자인으로 한반도 통일 전중후에 발생하는 여러 사회적 사안에 대해 다양한 분야와의 협업을 통해 혁신적 솔루션을 발굴하는 연구 분야이다. 통일 디자인은 국민의 통일의식 제고, 대북 인도적 지원책이나 탈북민의 남한 사회 안착과 같은 남북한 주민의 사회적 통합, 분단 역사의 보존 등의 연구 주제를 다루며, 지역 디자인 연구의 성격을 가진 북한 디자인을 내포하고 있어 북한의 산업미술 탐구도 주요 주제가 된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