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주체문예론 연구(2) -‘주체문예리론체계’의 공시적 분석

A study on Juche’s Literary and Artistic Theory (2) : A Paradigm analysis of Juche Literatary and Artistic theory system

상세내역
저자 김성수
소속 및 직함 성균관대학교
발행기관 상허학회
학술지 상허학보
권호사항 64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341-371
발행 시기 2022년
키워드 #북한문학   #주체문예론   #주체문학론   #주체사실주의   #김정일   #공시적 분석   #김성수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글은 북한 주체문예론의 이론구도를 공시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북한은 ‘주사상의 유일사상 체계화’(1967)의 일환으로 문학예술분야에서 주체문예론을 만들어 유일무이한 이론으로 정했다. ‘항일혁명문학예술’을 문학예술사적 전통으로 격상하고, 김정일의 지도를 받아 『영화예술론』, 『주체사상에 기초한 문예리론』, 『주체문학론』의 설계도에 따라 『문예리론총서 주체적문예사상』, 『주체적문예리론연구』, 『주체음악총서』, 『주체미술총서』, 『주체영화리론총서』, 『주체문학전서』 등의 방대한 이론체계를 집대성하였다. 이와 함께 김일성, 김정일 저작의 문예이론과 지도지침을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의 문학 령도사』 『문학예술의 영재』, 『친애하는 지도자 김정일동지의 문예리론총서』, 『친애하는 지도자 김정일동지 문학령도사』,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 동지의 사상리론 문예학』, 『친애하는 지도자 김정일 동지의 문학예술업적』, 『20세기문예부흥과 김정일』 시리즈로 출간, 보급하였다. ‘고난의 행군’기로 불리는 체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선군(先軍)통치, 선군사상’을 반영한 ‘선군(혁명)문학’ 담론이 2000년대 초 급부상하였다. 그러나 주체문예론의 일시적 변형일 뿐 별도의 독자적 이론으로 체계화되지 않았다. 『선군혁명문학예술과 김정일』 외에는 문예이론서가 나오지 않았다. 주체문예론의 체계를 공시적으로 분석하면, 문학의 본질을 전에는 막연하게 ‘인간학’으로 규정했는데 ‘주체의 문예관’에 의해 ‘자주시대의 문학은 주체의 인간학’이라고 재규정되었다. 문학의 이념은 마르크스레닌주의에서 주체사상을 거쳐 ‘김일성김정일주의’로, 미학은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에서 ‘주체사실주의’로 변모하였다.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미학의 특징적 구성요소도 ‘인민성, 계급성, 당파성’ 범주에서 ‘당성, 로동계급성, 인민성’을 거쳐, 주체사실주의 미학에선 ‘수령에의 충실성’ 요소가 추가되었다. 창작방법은 사실주의적 전형화 원리에서 ‘종자론’ ‘속도전’ 같은 창작지침으로 위상이 달라졌다. 문학사적 전통은 카프의 프로문학 계승론에서 항일혁명문학예술 유일 전통론을 거쳐 항일혁명문학예술 ‘전통’과 진보적 문학 ‘유산’의 이원론으로 바뀌었다. 각 시대를 대표하는 전형적 형상도 사회주의체제 하의 ‘긍정적 주인공, 영웅—전사, 천리마 기수’ 등에서 주체사상체제 하의 각 시대를 상징하는 ‘주체적 인간, 3대혁명소조원, 숨은 영웅, 선군투사, 만리마 기수’ 등이 새로운 인간형으로 창조되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