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북한 장애아동 교육에 관한 북한이탈주민과 전문가의 경험과 인식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Experts Regarding the Educ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North Korea

상세내역
저자 안상권, 홍정숙
소속 및 직함 국립특수교육원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학술지 특수아동교육연구
권호사항 25(4)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45-74
발행 시기 2023년
키워드 #북한   #특수교육   #장애아동 교육   #북한이탈주민   #북한전문가   #안상권   #홍정숙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북한에서의 장애아동 교육에 관한 북한이탈주민과 전문가들의 경험과 인식 내용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북한 사회 장애아동 교육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북한에서 교사, 학생, 장애인 당사자 등의 삶을 살아온 북한이탈주민 10명과 북한에서 장애아동을 지원하는 해외활동가, 연구가, 정치인 등 전문가 6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연속적 비교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면담 분석 결과, 2개의 주제(장애아동 교육의 현실, 북한 장애아동 교육 발전을 위한 과제)와, 4개의 하위 주제(특수학교에서의 장애아동 교육, 일반학교에서의 장애아동 교육, 제도적 개선 방안, 장애인식 개선 방안)가 도출되었다. 북한의 장애아동 교육은 시각장애, 청각장애 특수학교를 중심으로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반학교에서의 장애아동 교육은 실제 그 운영이 매우 미비한 실정이었다. 그럼에도 일반학교에 다니는 지체장애, 지적장애(다운증후군 포함) 아동에 관한 사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북한 장애아동 교육 발전을 위한 과제는 ‘특수교육 기관 확대 및 특수교사 양성 체제 구축, 장애아동 교육권의 토대로 재활, 복지 지원 확대, 국가수준 특수교육 교육과정 및 교재 개발’과 함께 장애인식 개선의 구체적인 방안들이 제시되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북한 장애아동 교육 관련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