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북한지역 안정화작전 시 특수작전부대 운용에 관한 연구: 미군 안정화작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Operation of Special Operations Units During Stability Operations in North Korea: Focusing on the Analysis of US Military Stability Operations

상세내역
저자 김광현
소속 및 직함
발행기관 미래군사학회
학술지 한국군사학논총
권호사항 11(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69-95
발행 시기 2022년
키워드 #안정화작전   #특수작전   #특수작전부대   #영향요인   #특수작전 전법   #김광현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9.11테러로 촉발된 대테러전쟁에서 미국은 기동 중심의 전투작전에서는 승리하였으나 이어진 안정화작전에서 실패하였다. 이는 전투작전의 승리만으로는 전쟁의 궁극적인 목적을 달성하지 못함을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미 특수작전부대는 전투작전뿐만 아니라 안정화작전 시에도 점령지역 안정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를 계기로 볼 때, 한국군에 있어서 안정화작전 시 특수작전부대 운용은 추가적인 발전이 요구된다. 따라서 금번 연구의 목적은 대테러전쟁에서 미군의 안정화작전 시 특수작전부대 운용 사례를 분석하여 북한지역 안정화작전 시 육군 특수작전부대 운용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은 안정화작전 영향요인(전장환경, 위협인식, 대응의지)에 따른 특수작전 전법(작전수행개념, 조직편성, 무기체계)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기초로 대테러전쟁 시 미 특수작전부대 운용 사례 분석을 통해 교훈을 도출하여 한국군에 적용하는 사례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미군 특수작전부대는 안정화작전 단계에서도 특수작전을 통하여 지역안정에 한 축을 담당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육군 특수작전부대도 북한지역 급변사태와 전시 안정화작전 간 북한지역 조기 안정에 기여할 수 있도록 안정화작전 영향요인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창의적인 특수작전 전법을 발전시켜 부대운용계획을 발전시켜야 하며, 이를 위한 준비 및 숙달할 사항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북한지역 안정화를 위해 육군 특수작전부대 운용계획을 구체적으로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