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중국 조선어의 띄어쓰기 규범에 대한 고찰 -새로 나온 2016년 『조선말규범집』의 변화를 중심으로-

Study about word spacing rules of China's Joseonmal -Conducting in 2016, it focus on the change of word spacing rules reported in the “Joseonmal Gyubeomjip”-

상세내역
저자 강려나
소속 및 직함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발행기관 한중인문학회
학술지 한중인문학연구
권호사항 (74)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29-151
발행 시기 2022년
키워드 #중국 조선어   #『조선말규범집』   #띄어쓰기 규범   #중국 조선어 띄어쓰기   #한국의 띄어쓰기   #북한의 띄어쓰기   #강려나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는 중국에서 2016년에 새롭게 개정된 『조선말규범집』 중 띄어쓰기 규범의 10년간 변화를 거시적 시각과 미시적 시각으로 나누어서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중국 조선어 띄어쓰기 규범의 특징과 발전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중국 조선어 띄어쓰기 규범의 특징 및 기타 영향 요소가 된 남북한 각 언어 규범과 남북한에서 협의한 『겨레말큰사전』 단일규범내용과의 공통점을 정리할 것이다. 2016년에 새롭게 개정된 띄어쓰기는 남북한 언어 규범에서의 협의에 따른 첫 개정 시도를 보여준 것으로 단일어문규범의 통일을 이루는 데에 적지 않은 의의를 지닌다고 본다. 특히 남북한의 어문규범을 자유롭게 참고하여 각 언어의 사용과 특성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중간지대로 현행 중국의 어문규범으로부터 단일규범의 효과성과 실행 가능성, 나아가 중국 조선어의 특징과 미래의 발전 방향을 짐작할 수 있는 통로의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