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문화 허브로서 유라시아 한인 예술단체의 역할과 비전 - 카자흐스탄 국립 고려극장의 춤예술 활동을 중심으로

The Role and Vision of an Eurasian Korean Art Organization as a Cultural Hub - Focusing on Dance Art Activities of the State Republican Academic Korean Theater of Musical Comedy

상세내역
저자 양민아
소속 및 직함 중앙대학교 외국학연구소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학술지 한국문학과 예술
권호사항 (4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35-164
발행 시기 2022년
키워드 #국립 공화국 아카데미 고려 희가극 극장   #고려극장   #문화 허브   #한민족 문화 플랫폼   #유라시아 한인 예술단체   #춤예술 활동   #양민아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카자흐스탄에 소재한 국립 공화국 아카데미 고려 희가극 극장(이하 고려극장)은 1932년 9월 9일 연해주에서 창립되어 2022년은 창립 90주년을 맞는 해이다. 고려극장은 1세기 가까운 시간동안 중앙아시아의 한인 디아스포라의 문화적 구심점으로 남·북한춤을 비롯하여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러시아의 민속춤 등 다양한 춤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고려극장은 러시아 한인들의 역사적 조국에 대한 향수를 불러일으키고 그들의 정체성을 가시화하며, 그들의 마음의 고향 역할을 하고 있다. 고려극장의 춤예술 활동은 총 4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제1기 원동변강조선극장의 탄생: 조선춤 유입기(1932~1937); 제2기 주립 고려 음악-드라마 극장: 중앙아시아와 북한춤 유입기(1937~1968); 제3기 공화국 고려 희가극 극장: 자체 레퍼토리 확립기(1968~1990); 제4기 국립 공화국 아카데미 고려 희가극 극장: 한국춤 유입기(1991~현재) 고려극장은 한 발 더 나아가 전 세계 한민족의 문화와 예술을 자유롭게 연결하고, 교류하여 새로운 작품들로 재탄생될 수 있는 확장된 개념의 문화 허브, 즉 한민족 문화 창조의 플랫폼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이처럼 문화 허브로서 유라시아 한인 단체인 고려극장의 역할과 비전은 4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남·북한 춤문화 교류의 교두보; 둘째, 디아스포라 예술인들의 화합의 장; 셋째, 세계 한인문화예술의 멜팅 팟(melting pot); 넷째, 차세대 러시아 한인 예술인 양성의 인큐베이터이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