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한반도 국제질서 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Analysis of the International Order on the Korean Peninsula i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상세내역
저자 김홍탁
소속 및 직함 귀일중학교
발행기관 한국사회과교육학회
학술지 시민교육연구
권호사항 54(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33-55
발행 시기 2022년
키워드 #중학교 사회 교과서   #국제정치   #한반도 국제질서   #우리나라의 국가 간 갈등 문제   #김홍탁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는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핵심개념으로 제시하고 있는 국제정치에 관한 일반화된 지식인 복잡한 한반도의 국제질서를 다루는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현재 중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사회2 교과서 총 8종을 대상으로, 성취기준 [9사(일사)11-03]을 구현하고 있는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우리나라와 갈등을 겪고 있는 주변 국가로 동북아시아의 일본, 중국, 북한, 러시아 4개국과 미국 등 모두 5개 국가를 제시하고 있다. 둘째, 우리나라가 직면한 국가 간 갈등 문제로 모든 교과서에서는 일본과 중국과의 영토 문제와 과거사 문제를 다루고 있다. 공통적으로 독도 영유권과 동북 공정 문제를 가장 중점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셋째, 우리나라와 주변국과의 갈등 문제를 서술한 교과서에 나타난 한반도 국제질서의 내용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영토 문제와 과거사 문제가 지닌 국제정치적 의미를 담아내지 못한 점, 국가 간 갈등 문제의 현상 또는 단편적 사실들을 피상적으로만 나열하고 있는 점, 한반도를 둘러싸고 나타나는 3중의 패러독스와 같은 국제질서가 서술되어 있지 않은 점, 동북아시아 국제정치의 주요 행위자인 미국과 북한이 교과서에 잘 보이지 않는 점 등이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