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청년 세대의 통일 및 북한에 대한 인식과 탈북자 수용에 관한 태도

Perceptions of Unification, North Korea, and Acceptance of North Korean Refugees among the Young Generation

상세내역
저자 김한나, 박원호
소속 및 직함 미 피츠버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발행기관 한국정치학회
학술지 한국정치학회보
권호사항 57(4)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59-89
발행 시기 2023년
키워드 #정치 이념   #세대   #통일 인식   #대북 인식   #북한 이탈 주민   #김한나   #박원호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념과 세대에 관한 기존 연구는 적대적 대북 인식과 소극적 통일관을 가진 보수·장년 세대를 우호적 대북 인식과 적극적 통일관을 가진 진보·청년 세대와 대비해왔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출생한 세대를 기점으로 이 도식은 최근 깨지고 있다. 이 세대는 민족주의보다 북한의 이중 정체성을 강조하는 통일 교육을 받은 첫 세대로서, 적대적 대북 인식에 따라 통일을 이념적으로 사고할 가능성이 크다. 한국종합사회조사(2003~2021)를 통해 분석한 결과, 다른 세대보다 1990년대생들에서 적대적 대북 인식과 소극적 통일 인식 간 관계가 가장 강했으며, 적대적 대북 인식과 탈북자 수용에 관한 부정적 태도의 연관성도 가장 강했다. 또 적대적 대북 인식이 탈북자 수용 태도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는 특히 90년대생 보수 집단에서 가장 두드러졌다. 이 결과는 통일의 이유를 구성하던 민족주의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게 되었고, 청년 세대에게 통일을 설득하기 위해선 새로운 규범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