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북한강유역권에 나타난 새로운 유형의 철기문화와 위만조선(衛滿朝鮮)

The Emergence of a New Iron Culture in the Bukhan River Basin and the Wiman Joseon Dynasty

상세내역
저자 김새봄
소속 및 직함 영남대학교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학술지 한국고고학보
권호사항 2023(4)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689-711
발행 시기 2023년
키워드 #북한강유역권   #전국계(戰國系) 주조철기(鑄造鐵器)   #단조제 무기류(鍛造製 武器類)   #위만조선(衛滿朝鮮)   #김새봄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B.C. 2세기 후엽경 북한강유역권에서는 가평 대성리와 달전리, 그리고 최근 발굴된 남양주 금남리 등지를 중심으로 이전 시기와는 다른 새로운 계통의 철기문화가 구성된다. 이는 초기철기시대에 유행하던 주조철기문화와 함께 ‘단조제 무기류’를 주류로 한 단조철기문화가 결합된 양상이다. 이러한 철기문화는 오랜 기간 동안 낙랑군(樂浪郡) 설치에 따른 한(漢)의 선진적 철기문화의 이식으로 견지되어 왔다. 그러나 이 새로운 유형의 철기문화에는 한(漢)의 전형적인 철기가 도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북한강유역권에 나타난 철기문화는 주조철기 중심의 고조선 철기문화의 바탕 위에 진한대(秦漢代)를 즈음하여 도입된 단조기술이 결합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보았을 때, 새로운 유형의 철기문화를 구성할 수있었던 세력은 고조선(古朝鮮)의 전통 위에 한(漢)의 병위재물(兵威財物)을 획득할 수 있었던 위만조선(衛滿朝 鮮)으로 보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 위만조선에 의해 구성된 새로운 철기문화가 한반도 남부지역 중 특히 북한강유역권에 먼저 전달된 데에는, 이곳 지역세력이 위만조선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가장 외연(外緣)의 지방세력이거나, 위만조선의 철기 유통망에 밀접하게 가담한 세력이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즉 ‘중앙’으로부터의 밀접한 영향은 한반도 남부지역에서 가장 처음으로 초기철기문화와는 다른 보다 발전된 철기문화를 영위하게 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이처럼 ‘중앙’과의 밀접한 지정학적 위치는 역설적이게도 도입된 철기문화가 지역사회 내에 연속적(連續的)으로 계승(繼承)되지 못한 원인이기도 한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낙랑군(樂浪郡) 설치라고 하는 외부사회의 정치·경제적 자극은 북한강유역권에서 상당 기간 동안 철기를 비롯한 고고학적 요소가 희소하게 되는원인으로 작용한 것이다. 그러나 비록 이 새로운 유형의 철기문화가 북한강유역권 내에서는 지속적으로 계승되지 못했다 하더라도, 한반도 남부지역에서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 이것이 다시 영남지역으로 이입되면서 진·변한 철기문화의 주요 기종으로 계승(繼承)된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