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이스라엘 - 하마스 공격 전술과 북한의 접경지역에 대한 하이브리드전 대비 연구

Israel - Hamas attack strategy and North Korea's Hybrid-warfare at the Border Area

상세내역
저자 문계성, 권찬주, 송애연
소속 및 직함 포천시청
발행기관 한국접경지역통일학회
학술지 접경지역통일연구
권호사항 7(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51-178
발행 시기 2023년
키워드 #하마스   #하이브리드전   #다양한 포격   #공중침투   #땅굴침투   #주민보호   #문계성, 권찬주, 송애연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논문은 최근에 하마스가 이스라엘에 육해공 하이브리드전 양상의 전술로 20여 개 마을을 침공하여 240여 명을 납치한 사태에 대하여, 장차 한반도에서 이와 유사한 양상에 대한 침공 예측과 이에 따른 시사점과 대안을 다루고자 한다. 2023. 10. 07 새벽 하마스는 5,000여 발의 로켓탄을 발사하고 동력 패러글라이딩을 이용하여 공중침투, 기계화된 소부대로 철조망과 옹벽파괴 등으로 신속한 침투, 땅굴 침투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아울러 하마스는 가자지구 인근 이스라엘 지휘통제소를 습격하여 통신을 차단하고 6시간에서 24시간까지 테러를 자행하었다. 세계 최고의 정보력과 恒在 전쟁의 시스템을 갖춘 이스라엘이 속수무책으로 당하였다. 향후 이러한 하이브리드전은 한반도에서도 전면전 초반 또는 협상을 위한 도발로 나타날 수 있는 전술이다. 주요 하이브리드전 양상은 포격 도발로 북한의 장사정포 16,000여 문이 수도권 및 접경지역을 향해 공격할 수 있다. 동시에 AN-2기 및 글라이더와 패러글라이딩 침투, 땅굴로 중대급 병력 침투, 소규모 특작부대에 의한 민통선 일대 지휘통제소 및 통신선 파괴, 아군 장비 무장탈취 후 수도권 진입 등 최대 교란작전을 전개할 가능성이 높다. 결론적으로 한국은 북한의 다량 포격에 대비, 공중침투(패러글라이딩․무인기, A/N-2기)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 땅굴 침투에 대한 경계, 소규모 특작부대의 침투에 따른 지휘통제소 및 통신망 보호, 제대 단위 아군의 武裝 탈취와 장거리 공중 침투로를 통해 수도권 근접까지 침투하여 교란작전을 전개할 가능성 등등에 대해 시사되는 바가 크며, 이에 대한 대비책이 필요하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