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시기 재일 조선 유학생들의 활동을 추적한 이 연구는 그들이 조선을 떠나올 때의 심리상태로부터 유학 생활과 귀국에 이르기까지의 전반적 활동을 재구성하였다. 유학생들의 목적의식, 고학, 학업성취 과정, 독서회와 각종 조직 활동을 비롯한 사회운동은 이 연구가 특히 주목한 테마들이다. 일제시기 재일 조선 유학생들의 활동상은 사회적 차별과 멸시를 당하며 당국의 탄압까지받은 그들이 어떻게 저항의식을 품고, 현실의 부조리에 맞서 새로운 사회의 건설에 디딤돌을 놓고자 했는가를 잘 드러낸다. 더 나아가 조선 유학생들의 사회활동은 식민지 조선에 사회주의 사조가유입될 수 있었던 가교역할이 바로 그들을 통해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낮은 수준의 미시사ㆍ일상사적 관점에서 접근한 이 연구는 잘 알려지지 않은 유학생 개개인들의 경험을 조합하여, 그들의유학 생활 전과정을 하나의 일관된 스토리로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의 장점은유학생 개개인들의 심리상태를 생생히 드러낼 뿐만 아니라, 당대의 시대 분위기와 사회상을 예리하게 포착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