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9・19 남북군사합의서’의 이행과정에서 나타난 군비통제의 성립 여건을 분석하여 한반도 군비통제의 한계요인을 도출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은 9・19 남북군사합의서와 군비통제에 관련된 문헌조사 및 분석으로 하였다. 연구내용은 9・19 남북군사합의의 이행평가와 한반도 군비통제의 한계요인으로, 향후 한반도 군비통제 접근 방향을 모색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연구 결과, 한반도 군비통제 한계요인으로는 북핵 문제의 영향, 진정한 신뢰 구축의 어려움, 남북한 군사력의 비대칭적 구조, 북한의 합의 불이행 태도 등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한계요인을 극복하기 위한 향후 한반도 군비통제 접근 방향은 북한 비핵화 수준을 고려한 재래식 군비통제 추진, 남북 간 신뢰 구축을 위한 제도화, 남북 군사력의 비대칭적 구조를 고려한 원칙 적용, 남북군사공동위원회 조기 구성 및 미이행 과제 적극 추진 등이다. 결론적으로 군비통제는 국가의 중요한 안보 정책으로 한반도 평화 정착은 물론 북한 비핵화 촉진에도 기여할 것이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