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위만조선 물질문화의 형성 과정 -세형동검문화 네트워크에서 흉노와의 교류까지-

The Formative Process of Wiman Joseon’s Material Culture : from the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Network to the Interaction with Xiongnu

상세내역
저자 이후석
소속 및 직함 경희대학교 한국고대사고고학연구소
발행기관 중부고고학회
학술지 고고학
권호사항 21(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75-114
발행 시기 2022년
키워드 #위만조선   #세형동검문화   #상보촌유형   #괴정동유형   #요동군   #흉노   #이후석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위만조선의 물질문화는 그 대상 자료의 범주와 시공간성을 확정하기 힘든 상황에서 북한지역의 보고 자료까지 부족하여 접근하기 쉽지 않다. 그렇지만 고대 요동군의 확장이나 중원문화의 확산, 요동~북한지역 세형동검문화의 변동이나 재지적인 철기문화 등의 상호 관계를 통해 그 물질문화의 형성 과정을 일부 복원할 수 있다. 먼저 요동군의 군현 범위와 변경 지배 방식이 일정하게 변화되었다는 점이 주목된다. 기원전 3세기경 연은 심양-요양 일대에서 요동군을 설치하고 거점 지배를 추진하였고, 기원전 2세기경 한은 점차 대련 및 단동 일대까지 요동군을 확장하고 거점 지배를 강화하였다. 이는 기원전 3세기대 전후 유행했던 요동지역의 세형동검문화가 기원전 2세기대 후반부터 중원문화 일색으로 바뀌거나 요동-길림 접경지역으로 퇴축되는 것을 통해 짐작된다. 한편 북한지역의 세형동검문화에는 기원전 3세기말 전후 남한계의 괴정동유형이 요동계의 상보촌유형을 대체하는 문화변동이 주목된다. 이때 괴정동유형은 청천강의 중상류를 포함하여 북한 거의 전역으로 확산되었으며, 이후 철기문화까지 복합되어 일부 철제무기류와 ‘비한식계’ 차마구를 지배층의 권력 기반으로 활용하였음이 확인된다. 위만조선은 가까이는 압록강권 및 두만강권 예맥집단, 멀리로는 흉노와의 중층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발전하였다고 생각된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