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혐오의 시대 통일 의식: 평화통일 교육 현장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Unification Consciousness in the Era of Hatred: Focusing on the field of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상세내역
저자 함세정
소속 및 직함 덕성여자대학교
발행기관 통일연구원
학술지 통일연구
권호사항 26(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63-198
발행 시기 2022년
키워드 #신자유주의   #혐오   #신자유주의적 주체   #타자   #통일   #북한   #함세정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글은 평화·통일교육 관련 현장 참여자들에 대한 초점집단인터뷰를 통하여 신자유주의적 혐오의 시대 북한과 통일에 부여된 새로운 위치와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사유재산의 보호와 공정한 자유 경쟁을 인류 번영의 중요한 전제로 삼는 신자유주의적 시장중심 논리는 특정한 방식으로 북한과 통일에 대한 이해를 재편한다. ‘선택’과 ‘책임’이 신자유주의적 주체에게 요청되는 자격일 때, 북한은 주체의 자격이 없는 타자로, 대북지원은 북한이 “자초”한 상황에 대한 불공정한 개입으로 이해된다. 글로벌 자본주의의 맥락에서 세계시민사회와 글로벌 시장이 남북관계를 이해하는 상상의 공동체로 등장하지만, 북한은 시장 질서에 자격 없는 주체로 성원권을 가지지 못한다. 관계를 해석하는 맥락이 한반도에서 세계로 확장될 때, 민족주의에 기반한 남북의 필연적인 결합은 약화된다. 한편, 신자유주의 질서는 평화·통일교육 현장에서 경제 논리를 기반으로 통일을 이해하는 방식을 확산시키는 조건을 만든다. 그러나 이는 통일을 사적 이익침해가 예상되는 불합리한 선택지로, 북한을 제한된 자원을 불공정하게 약탈하는 타자로 의미화 할 위험이 있다. 이 글은 신자유주의적 혐오가 분단의 맥락에서 복잡화 되는 양상을 이해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