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어느 ‘재일 권투선수’의 선택과 1960년대 한국 외교 ‒‘북송교포 김귀하 망명 기도 사건’문서를 중심으로‒

The choice of one Zainichi boxer and the Korean diplomacy in the 1960s -Focusing on diplomatic documents of Kim Gwi-ha incident-

상세내역
저자 박미아
소속 및 직함 동의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발행기관 한국일본근대학회
학술지 일본근대학연구
권호사항 (76)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237-258
발행 시기 2022년
키워드 #김귀하   #가네다 모리오   #재일 권투선수   #재일동포   #1960년대 대한민국 외교   #귀국・북송사업   #망명 기도   #인도주의   #박미아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1966년 12월, 캄보디아에서 개최된 가네포 경기 도중, 귀국・북송사업으로 북한에 갔던 권투선수 김귀하가 일본 대사관으로 가서 망명 신청을 하였다. 하지만 총영사 관저와 일본 대사관을 오가는 사이 그는 캄보디아 경찰에 의해 체포되었고, 결국 북한으로 송환되었다. 조선학교 출신으로 한국 국민등록을 마친 그는 세계챔피언이 된 김기수의 방어전 상대로 지목되었을 만큼 유명한 권투선수였지만 어느날 갑자기 북한행을 택했고, 북한의 현실에 실망하여 망명 기도를 하였다. 그의 거취를 두고 한국・일본・북한・캄보디아는 치열한 외교전을 펼쳤고, 결과적으로 한국 외교는 이 전쟁에서 실패해 캄보디아와 외교를 단절했다. 김귀하 사건은 귀국・북송사업의 이면과 재일동포 정책, 1960년대 한국의 외교현실과 위상에 관한 다각적 논의를 제고할 수 있는 사건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