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이북의 조선어교육 문법 교재인 김일설종합대학과 김형직사범대학의 <조선어실천문법(실습생용)>을 분석하여 북한의 외국어로서의 조선어 문법 교재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남의 연구자들에게는 낯선 ‘실천문법’이란 무엇인지, 이러한 실천문법이 어떠한 방식으로 구조화, 체계화될 수 있는지 실제 <조선어실천문법> 교재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실천문법’의 위상과 의미를, 3장에서는 <조선어실천문법> 교재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우리는 이남의 연구자들에게는 낯선 ‘실천문법’의 위상과 의미를 ‘리론문법, 규범문법, 서술문법, 력사문법, 기능문법, 학교문법’과의 관계 설정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천문법을 서술하는 다양한 방식이 존재하며, 박재호(2015)와 김철만(2016)에서 공통된 실천문법 교육 내용이 제시되는 방식의 차이를 구체적인 문법 서술 양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차별화된 실천문법 교육 내용인 박재호(2015)의 ‘제6장 동의문구성방법’의 구체적인 문법 서술 양상 역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지금껏 논의되지 못한 이북의 ‘실천문법’의 위상과 의미를 <조선어실천문법> 교재를 통해 실제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소중한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관련한 논의가 활성화될 수 있길 기대해 본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