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성인교육은 기본적으로 사회주의 교육이념을 지향할 뿐 아니라 사회주의적 인간 육성에 중점을 두고 모든 교육이 전개되고 있다. 다가올 통일사회에 대비하여 북한교육을 무조건 부정적으로 보기보다는 냉전 후 이루어온‘있는 그대로’ 평가함으로써 북한 교육에 대한 균형적인 인식을 갖추려는 자세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북한 성인교육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을 목적으로 북한 성인교육에 대한 연구를 북한 집권시기, 연구방법, 연구주제영역별로 분류하고 분석을 실시하여, 북한 성인교육의 연구방향 및 진척을 파악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전반적으로 북한 성인교육에 대한 연구가 양적으로 부족하며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북한 현지 자료를 근거로 하여 현황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문헌연구에 편중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북한은 학교교육에 비하여 성인교육을 등한시하는 모습을 보이며 그마저도 성인의 가치관과 행위양식 증진을 위한 교육이라기보다는 정치사상화의 성격이 짙다. 특히, 북한의 성인교육은 북한 당국이 필요로 하는 정치사상교육에 초점을 둠으로써 성인 개개인의 잠재력을 개발하고, 삶의 만족을 누리는 것을 지향하는 한국의 평생교육과는 거리가 있다. 이 격차를 줄여나가기 위해서는 남한 평생교육에서도 북한 관련 연구에 매진하여아 하며 동시에 북한의 교육연구에서도 평생교육 측면에서의 논의가 확대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