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북한 사회 미신행위에 대한 관점과 특징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북한 사회 미신행위 파악을 위한 분석틀로 라캉의 세 개념인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를 주목하였다. 이 연구는 북한의 신문과 잡지 등 공식 문헌을 활용하여 미신에 대한 지배적 담론을 분석하였다. 여기에 실제로 북한에서 미신 관련 행위를 경험한 북한이탈주민과의 면담을 토대로 북한 사회 미신행위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시장 위주의 생존 환경에서 성공을 꾀하는 개인들의 물질주의적 욕망과 미래에 대한 불안이 미신행위의 확산을 가져왔다. 이에 국가가 경제적 불만을 해소해 줄지라도 궁극적으로 충족되지 않은 욕망이 또 다른 욕망을 좇아가게 될 것이다. 그것은 미신행위에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는 상상계적 환상으로 빠져들게 하는 기능이 있기 때문이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