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북한 ‘인프라스트럭쳐’ 연구의 확장 가능성과 예시: 포스트 사회주의 인프라 연구 동향과 북한 연구에의 시사점

The expandability and examples of 'Infrastructure' Research in North Korea: Trends in Post-Socialist Infrastructure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North Korean Studies

상세내역
저자 박민주
소속 및 직함 동국대학교
발행기관 북한학연구소
학술지 북한학연구
권호사항 18(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51-94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북한 인프라   #인프라스트럭쳐   #포스트 사회주의   #사회·기술 연결망   #혼종성   #박민주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인프라는 사회·기술의 복합적 연결망이자 자원배분체계로서 기능하며, 그 규모와 기술-물질성 탓에 지속적 유지보수와 관리를 요구한다. 이러한 인프라의 속성은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는 포스트 사회주의 국가를 입체적으로 분석하는데 도구로서 유효성을 발휘한다. 포스트 사회주의 도시 인프라에 관한 연구들은 교통과 모빌리티, 주거 및 상수도, 도시재생, 녹지 등의 인프라 재구조화 과정을 분석하여 신자유주의적 변화에 대한 요구와 사회주의 시절의 통치적, 상징적, 사회·기술적 잔존 영향이 뒤섞여 젠트리피케이션, 빈부격차 심화, 서비스 접근성 하락, 낮은 지속가능성의 문제들과 관성-역동, 공식-비공식의 혼종이 나타남을 보여준다. 일련의 함의에 기반하여 향후 북한 인프라 연구는 자원/물질 배분과 통치의 역할, 유지보수와 기술사회적 문제들, 물질-사회적 관계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주제가 논의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 연구방법은 인프라를 주요 소재로 일상생활사를 서술하는 작업이 가장 시의적절하며 다만 북한의 정치체제, 도시 로컬리티와 물질-기술적 특성, 주로 EU국가에 속하는 포스트 사회주의 도시들과는 다른 국제적 지원 환경 등 북한 특유의 요소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