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 고찰 방법(Systematic review)을 활용하여 1997년부 터 2022년 5월까지 북한이탈주민 정체성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한국교 육학술정보원에서 검색된 589개의 학술지 논문과 박사 논문을 62개의 논문 으로 추출하여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표 연도별로는 1997년 1편 이후 없다가 2009년~2022년 매년 3편 이상의 논문 이 발표되었으며, 남북관계와 정부 정책의 영향에 의해 2018년과 2021년에 는 6편 이상으로 눈에 띄게 증가하였다. 둘째, 연구 대상별로는 북한이탈주 민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지만 소설, 수기, 동화 등의 작품에 대한 연구와 북한이탈주민과 남한 주민을 함께 연구대상자에 포함시킨 연구도 있다. 셋째, 연구 방법별로는 질적 연구-문헌 연구-양적 연구-혼합 연구의 순으로 많았고, 질적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질적 분석과 생애사, 내러티브가 많이 쓰였다. 넷째, 연구비 지원별로는 지원금 없이 연구한 건수가 63%로 가장 많았고 연구지원을 받은 논문은 교육부를 통한 한국연구재단이 가장 많았다. 다섯째, 학술분야별로는 교육학(15편)과 다문화주의(12편)가 가장 많았고, 그 외 문학, 사회학, 인문학 등의 분야에서 연구가 이뤄졌다. 여섯째, 주제별 분석으로는 정체성 유형을 객관적・전통적 개념과 주관적・구성주의 적 개념으로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일곱째, 각 연구물의 결과와 초록을 통하 여 유형별 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외부 요인, 내부 요인, 상호작용 요인들로 체계적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