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통일 이후 남북 사회통합 요인분석:북한이탈주민 FGI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Factors for Social Integration after Korean Reunification: Analysis based on the FGI with North Korean Defectors

상세내역
저자 신재은, 조문영, 이석원
소속 및 직함 연세대학교
발행기관 통일연구원
학술지 통일정책연구
권호사항 31(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77-209
발행 시기 2022년
키워드 #남북통일   #사회통합   #북한이탈주민   #체제통합   #가치통합   #신재은   #조문영   #이석원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는 남북통일이 실현되었을 경우 사회통합을 달성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하는 주요 변수들을 이론적 고찰과 독일통일 사례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통해 식별하고 이를 바탕으로 북한이탈주민 FGI 조사를 수행하여 통일 이후 사회통합의 주요 결정요인들을 파악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먼저 사회통합을 체제통합과 가치통합으로 구분한 Krechel(1999)의 연구에 기반하여 통일 이후 어떠한 요인들이 사회통합을 저해하거나 촉진할 수 있는지 예측적 분석을 위한 이론적 틀을 구축하였다. 독일통일 사례 실증적 연구 결과 또한 Krechel의 연구에 기초한 이론적 틀과 일관성 있는 시사점을 제공해 주었다. 이러한 이론적 틀에 근거하여 북한이탈주민 대상 FGI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통일 이후 남북 사회통합에 대한 촉진 및 저해 요인을 예측적으로 분석하고, 통일 정부에서 효과적으로 사회통합을 달성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과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