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한류드라마 『사랑의 불시착』에서 나타나는 일본 내 북한 인식의 변화: 일본인 전문가 서면인터뷰를 중심으로

Changes in perception of North Korea in Japan from the Korean Wave drama “Crash Landing on You”

상세내역
저자 하승희
소속 및 직함 동국대학교
발행기관 일본학연구소
학술지 일본공간
권호사항 (3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37-178
발행 시기 2022년
키워드 #한류   #드라마   #사랑의 불시착   #북한   #일본   #하승희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연구는 북한 소재 한류콘텐츠 「사랑의 불시착」의 흥행으로 나타난 일본 내 북한의 인식변화 양상을 일본인 전문가들의 서면인터뷰로 살펴본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 들은 일본 내 북한인식에 대해 빈곤, 비정상적 체제, 통제사회, 군사국가, 실패국가, 범죄국가 등 대부분 호전적이고 부정적인 이미지로 평가했고, 이러한 인식의 기저에는 납치문제에 대한 트라우마, 북한의 핵실험 및 미사일발사 실험 등 안보위협에 대한 불안과 공포가 있었다. 또한 제한된 정보가 북한에 대한 고정관념과 함께 북한을 부정적으로 인식하는데 큰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나타났다. 「사랑의 불시착」을 통해 북한에 대한 인식범위 확장, 남북분단 현실의 재인식, 대외관계와 상관없이 콘텐츠가 수용되는 양상이 나타났으며, 북한은 일본인들의 고정관념에서 비롯된 상(像) 외에 더 다양한 모습으로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의식하는 계기로 작용했다. 「사랑의 불시착」은 정보제공의 통로로서 북한사회와 현실을 이해하고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데 역할을 했지만, 기존 납치자문제 등 북한의 고질적 이슈에 대한 근본적인 인식의 변화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일본인의 국민성과 가치관의 불변성에 근거해 허구와 현실정치영역에서의 북한을 구분하고 있으며, 일본인들이 한류 드라마를 통해 북한을 인식하는데는 한계가 있음을 말해준다. 일본 미디어는 납치자 문제, 미사일 및 핵문제 등과 같이 국민의 안보와 직결된 사안이 존속하고 있어, 여론에 따라 북한 정보를 제한적으로 다룰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양상이 지속되면서 일본 내 북한관련 정보가 부족하고 편향될 수밖에 없는 한계를 지니게 되었다. 북한 정보전달에서 새로운 포맷의 드라마가 인식 확장에 긍정적인 기여를 한 점에 따라, 일본 내 보다 다양한 북한정보의 균형 있는 전달이 필요하며, 여기에는 미디어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