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탈북청소년’이라는 범주화에 대한 비판적 검토

A Critical Review of the Categoriz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 Youths’

상세내역
저자 김정원
소속 및 직함 한국교육개발원
발행기관 한국통일교육학회
학술지 통일교육연구
권호사항 19(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61-189
발행 시기 2022년
키워드 #범주화   #탈북청소년   #탈북학생   #북한배경청소년   #정체성   #김정원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글은, 자신이 북한에서 왔거나 부모가 북한이탈주민인 청소년기 아이들을 정 책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탈북청소년’이라는 범주화를 비판적으로 검 토한 것이다. ‘탈북청소년’ 중 초중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은 ‘탈북학생’이라 명 명되고 있다. 이들 범주명이 만들어진 역사적 맥락 검토 하에 이 글에서는 ‘북한배 경청소년’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면서 한국교육개발원의 2주기 북한배경청소년 교육 종단연구 자료를 활용하여 이 범주에 포함되어 있는 아이들의 삶의 역사와 정체성 인식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고향을 떠나온 배경, 떠나온 고향에 대한 인식,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인식, 주변인들이 이 아이들을 범주화하는 방식 등에서 이 범주 아이들이 보이는 다 양한 특성들을 ‘탈북청소년’이라는 개념이 포괄할 수 없음이 드러났다. ‘탈북청소년’ 범주 내의 세분화된 구분인 ‘북한출생’, ‘제3국 출생’ 등도 이들의 특성을 대변하지 못하는 범주임은 마찬가지였다. 결론에서는, ‘북한배경청소년’ 등의 보다 합리적인 범주명이 필요하다는 점, 나아 가 이들을 위해 만든 범주화가 이들에 대한 편견과 배제로 연결되지 않도록 별도의 범주화를 필요로 하지 않는 교육 환경 구축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