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만 정부 말기에 이르러 북한의 김일성이 새로운 대남공작체계를 구축하고 그에 대응하여 국내보안정보활동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국가보안법이 개정되는가하면 한미간 정보협력채널이 구축되는 등 국가정보환경이 변화했다. 또한, 이승만정부 중기까지 정보경찰과 함께 국내정보의 양대축을 이루고 있던 특무대의 김창룡 대장이 암살되는 사건이 일어났다. 김창룡 독점지배체제로 운영되어온 특무대의 수장이 암살되자 상대적으로 정보경찰의 입지가 강화됐다. 그러한 정보환경변화에 편승하여 정보경찰은 장면부통령 암살을 시도하는가하면, 정부통령 부정선거를 기획하여 집행하고 이에 항의하는 시위대에 발포하는 등 정치문제에 개입했다. 그에따라 이승만 대통령이 하야하고 국가보안법이 축소개정됐다. 북한은 이러한 정세변화에 편승하여 위장평화공세를 벌이며 남한내부에 친북정치세력의 육성을 추진했다. 그리고 내각제개헌을 통해 집권한 장면정부는 이승만 정부 말기 정치에 개입한 정보경찰에 대한 대대적 숙청을 단행했다. 그 결과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정보수집활동이 위축되어 공공질서가 문란해졌다. 장면정부는 사회질서를 회복하기위해 국내정보수집활동을 강화하기위한 정보기구를 신설하고, 반공법 제정 및 국가보안법 재개정 등 법제 정비를 시도했으나 모두 실패했다. 그리고 군,경찰,검찰에서 수집한 첩보를 국가차원에서 분석판단하는 정보체계를 구축하지 못했다. 이러한 국가정보체계의 마비는 군사정변을 촉발한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했다. 이처럼 정보의 독점은 민주적 정치질서를 왜곡시키는 부작용을 초래한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