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GDELT를 활용한 한반도 평화지수 개발: 남북관계의 실증적 분석을 위하여

Developing the Korean Peninsula Peace Index with GDELT: For a Positivistic Analysis of Inter-Korean Relations

상세내역
저자 이성우
소속 및 직함 경기연구원
발행기관 국제지역연구센터
학술지 국제지역연구
권호사항 26(3)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19-142
발행 시기 2022년
키워드 #한반도평화지수   #남북관계   #북한연구방법론   #양자관계   #이성우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북한 연구는 객관적 정보 부족을 주된 근거로 연구자에 따라서 북한이라는 연구 대상에 대한 “관측의 이론 적재성”의 비판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동일한 대상인 북한에 대해 연구자가이미 가지고 있는 선입견의 영향으로 관찰, 이해, 해석, 그리고 주장의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GDELT는 인공지능의 딥러닝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뉴스 소스의 활용뿐 아니라 영어이외의 유럽 언어는 물론 한국어와 중국어를 포함 전체 100여 개 언어로 출간되는 기사도 포함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미국의 국제정치학 분야에서 발전시켜온 지식과 방법론을 집대성한공공재라고 할 수 있으며 이 자료는 전 세계의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남북관계뿐 아니라 어떤 이론적 및 정책적 관련성이 있는 양자관계를 분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이를 활용하여 남북한 양자관계에서 발생한 협력행위와 분쟁행위를 1979년 1월 1일부터 2022 년 3월 31일까지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분류하여 “한반도 평화지수”를 개발했다. 남북관계의 역학을 결정짓는 핵심 요인은 정권의 이념적 특성이 아니라 남북한의 국력 수준과 국제질서와 같은 구조적 요인과 이러한 구조적 변화에 따라 북한이 체감하는 체제생존과 경제위기와 같은 국내의 구조적 특징이 결정요인이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