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북한 여성 건강자본의 경제적 의미 고찰

A Study on the Economic Implication of North Korean Women’s Health Capital

상세내역
저자 김소연
소속 및 직함 이화여자대학교 북한학과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학회
학술지 보건과 사회과학
권호사항 (60)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65-97
발행 시기 2022년
키워드 #북한 여성   #건강자본   #생산가능인구   #경제성장   #김소연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북한은 해방 이후 사회주의국가 수립과 노동력 동원을 위해 여성의 노동을 수단화하였으나, 1990년대 경제난 이후 북한 여성은 생계를 유지하고 경제적 자립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시장을중심으로 새로운 경제활동 주체로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북한 경제성장에 있어 고려해야 할대상이 된 여성에 주목하여 인적자본론 관점에서 기존 연구 검토와 실증분석을 통해 북한 여성건강자본의 경제적 가치를 입증하고 경제성장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1970-2019년동안 북한 여성 기대수명과 실질GDP와의 관계에서 여성 생산가능인구 비율의 매개효과 분석한 결과 기대수명 증가가 생산가능인구 비율과 실질GDP를 증가시키는 유의한 직접효과가 있었으나, 생산가능인구 비율 증가는 실질GDP를 직접적으로 증가시키거나 기대수명과 실질GDP 관계를 매개하는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북한 여성의 건강이 경제성장에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의미 있는 자본이나 그동안 여성 생산가능인구가 유의한 경제성장 효과를 나타내기에 여러 한계가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미래 경제성장을 위해 여성의 건강증진을 위한 북한 당국의 적극적인 투자와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며 여성 생산가능인구의 경제활동에 제도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