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북한 경제 전문용어의 특징과 남북 비교 연구―『조선말대사전』과 『우리말샘』을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economic terminology and a comparative study of North and South Korea―Focusing on Joseonmaldaesajeon and Urimalsaem―

상세내역
저자 최효정
소속 및 직함 동국대학교
발행기관 민족문화연구원
학술지 민족문화연구
권호사항 (96)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549-590
발행 시기 2022년
키워드 #조선말대사전   #우리말샘   #북한 경제 전문용어   #북한 경제 용어   #남한 경제용어   #남북한 경제 용어   #경제 용어   #올림말   #표제어   #전문용어   #학술용어   #최효정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기존의 남북한 경제 용어 연구는 대응쌍의 결과를 제시하는 형태가 다수였다. 본고에서는 결과 제시를 넘어 남북한 경제 분야 올림말의 특징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북한 『조선말대사전』(2017) 경제 분야 올림말 2,182개를 내용적, 형태적으로 분석하고, 남한의 『우리말샘』어휘와 비교하였다. 2장에서는 경제 체제의 상이성을 고려하여 경제학 범위와 분류 체계를 비교하고, 남북한에 많은 차이가 존재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밝혔다. 3장에서는 『조선말대사전』 경제 용어와 『광명백과사전: 경제』 올림말의 공통 어휘를 바탕으로 북한 경제학 분류에 따른 내용적 분포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 『조선말대사전』 경제 용어 2,182개의 어종을 분석해 한자어로만 구성된 어휘가 95.5%에 달한다는 점을 밝혔다. 4장에서는 『조선말대사전』 경제 용어와 『우리말샘』 어휘를 비교하여 ‘남북 대응형’과 ‘남북 비대응형’으로 구분하였다. 2,182개 중 ‘남북 대응형’은 61.8%, 남북 비대응형은 38.2%였다. ‘남북 대응형’ 중 ‘남북 형태 일치형’에서는 올림말 ‘생산요소’로 개념상 일치에 대해 고찰하였다. ‘남북 형태 불일치형’에서는 ‘어음-수형’의 역사적 기원을 살펴보았다. ‘남북 비대응형’에서는 북한에만 존재하는 어휘를 5개 부문으로 나누어 사례를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남북 대응형’에 한정해 본다면 ‘남북 형태 일치형’ 비중이 높고, 한자어 어종이 대부분인 점에 비춰 남북 간 소통에 큰 무리는 없다고 보인다. 그러나 ‘남북 비대응형’이 38.2%가량으로 다수 존재하므로,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북한에만 있는 경제 용어, 남한에만 있는 경제 용어에 대한 관심이 필수라고 볼 수 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