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통일 커뮤니케이션 교육의 개념과 내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urpose and Content of Unification Communication Education

상세내역
저자 오원환
소속 및 직함 군산대학교
발행기관 사회과학연구원
학술지 사회과학연구
권호사항 61(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363-392
발행 시기 2022년
키워드 #통일   #커뮤니케이션   #교안   #오원환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분단 이후 남북 간 적대적 대치 국면 속에서 반공사상과 안보담론이 통일교육의 주요 이념적 토대였다면, 2000년 남북정상회담을 기점으로 화해협력과 평화공존의 방향으로 통일교육의 패러다임은 전환됐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서도 정권의 정치 성향에 따라서 한반도 평화와 화해 협력, 공존공영을 강조하거나 혹은 남한의 체제 우월성을 강조하면서 대북 압박정책과 북한 체제의 위협에 따른 안보 의식을 강조하는 등 통일교육의 내용은 일관된 방향을 제시하지 못했고, 실질적 통합력을 저해했으며, 통일의 당위성은 설득력이 약해졌고, 사회적 대화를 통해서 통일에 대한 국민적 요구에 귀 기울일 필요성은 증대했다. 그간 통일교육을 위한 교안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을 포괄하는 개론적 수준에서 구성돼왔고 대학의 전공 분야별 세분화·전문화된 통일교안 연구와 개발이 필요해졌다. 본 연구는 통일교육을 커뮤니케이션학적 관점에서 접근하면서, 통일 커뮤니케이션을 ‘남북의 대결과 갈등을 평화적으로 해결하고 바람직한 한반도의 미래상을 함께 설계하고 만들어가기 위한 전략적 메시지 구성과 전달, 이해와 공유의 과정’으로 정의한다. 통일 커뮤니케이션 교육의 중점방향인 ‘평화지향’과 ‘통합미래지향’을 ‘소통지향’을 중심으로 ‘통일 커뮤니케이션의 개념과 전략적 사고’, ‘통일 커뮤니케이션의 제도와 기획’, ‘통일 커뮤니케이션의 매체와 활용’, ‘통일 커뮤니케이션의 수용과 이해’, ‘통일 커뮤니케이션의 공유와 문화’ 등으로 내용 체계를 구성하고, 각각의 체계 속에서 통일 커뮤니케이션 교육에서 다뤄야 할 세부 내용을 제시한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