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스포츠 유산 관리에 따른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n Utilization Methods According to Sports Heritage Management

상세내역
저자 정병찬
소속 및 직함 한국체육대학교
발행기관 한국체육학회
학술지 한국체육학회지
권호사항 61(5)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427-439
발행 시기 2022년
키워드 #스포츠   #유산   #스포츠유산   #스포츠정책   #정병찬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는 스포츠 유산 관리에 따른 활용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 체계적 문헌고찰을 실시하였으며 세부적으로 문헌 수집 범위, 문헌 선정, 자료 처리 방법, 자료 분석의 타당성의 과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스포츠 유산 관리 현황을 탐색하 고 스포츠 유산 관리의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구성되었으며, 세부 방안은 첫째, 스포츠 유산의 정책수립을 총괄하는 정부부처 의 신설과 현행조직의 확대가 요구된다. 둘째, 스포츠 유산 관련 법적근거가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스포츠 유산 관리를 법적근거에 따라 집행하고 분류하기 위해서는 스포츠사적 기록과 유물을 관리·운영하는 전문기관이 실행주체로서 결정되어야 한다. 넷째, 전문 가들로 구성된 스포츠 유산 정책개발위원회를 통한 기본 및 중장기계획의 수립이 필요하다. 다섯째, 수집 관리되고 있는 유물과 유산 등이 교육 체험 장소, 스포츠 참여 제공 장소, 생활쉼터로 관광자원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여섯째, 국제대회 유치와 관련된 경기 장 및 시설물 등에 대해 대회유치 시부터 사후관리를 염두에 둔 정책 수립이 되어야 한다. 일곱째, 스포츠 유산 관리 정책 등이 남북 한의 공존과 평화정착의 일환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즉, 남북한 스포츠 유산의 발굴 및 교류협력으로 발전될 수 있도록 세부적인 실 행사항과 보존원칙 수립 시 상호 협의를 통해 설계하여야 한다. 총 7개로 구성되었다. 스포츠 유산의 가치는 일상의 척도로 평가하기 가 어렵고 우리들의 삶의 한 일부분인 동시에 국민들의 행복복지에 기여하는 역사적 자산인 만큼 정부 차원의 스포츠 유산 관리는 미래를 위한 준비이자 그동안 소외되었던 스포츠 유산을 태동시키는 중요한 시작이다. 따라서 스포츠 유산 관리가 다양한 영역 및 새 로운 관점에서 추진되어야 하며 국민적 공감대 형성을 통해 국민들의 삶속에서 함께할 수 있는 미래 자산으로 전승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