鍊戎臺 지역은 조선후기에 도성 수비를 위한 군사 기지로 조성된 곳으로 蕩春臺城 내부 지역에 해당된다. 도성의 서북쪽 城底十里에 있는 연융대 지역은 彰義門 밖에 위치하고 있으며, 북한산의 여러 산봉우리와 한양도성의 主脈인 백악과 인왕산에 둘러싸여 있다. 이들 산줄기와 蕩春臺城이 연융대 지역의 경계를 이룬다. 현재의 행정구역으로는 서울특별시 종로구의 부암동, 신영동, 평창동, 홍지동, 구기동 일대에 해당한다. 연융대는 조선초 임금의 유흥을 위해 조성된 蕩春臺를 개칭한 것이다. 1754년(영조 30) 9월에 총융청이 이곳으로 출진하면서 이름을 바꾸고 도성의 외곽 군사기지로서 기능을 갖추었다. 이후 총융청을 중심으로 하는 다양한 장려 정책과 모민 정책이 시행되면서 인구가 유입되었다. 연융대 지역의 거주민은 개간에 참여한 농민이거나, 군수물자 생산에 참여하는 공인, 총융청과 탕춘대성 및 북한산성을 수비하는 군사 등 총융청과 관련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후 한성부 방에 편제되어 도성 내부와 같은 제도적 관리를 받는 지역이 되었으나, 고종대에 가서 지역의 기능과 주민 구성에 변화가 생기게 된다. 조선후기에 시행된 장려 정책 등이 폐지됨과 더불어 외세의 침투가 본격화되자, 국가 수비 체제가 임금 宿衛를 중심으로 변하면서 연융대 지역의 기능과 역할은 상당 부분 흔들리게 되었다. 이런 상황은 연융대 지역 주민들의 삶에도 자연스럽게 영향을 미쳤다. 상평방 호적에 따르면 기존에 군사적 기능과 관련된 주민 활동은 사라지고, 주로 농업에 종사하는 거주민의 비율이 높았다. 당시 도성 내부 지역이나 타 성저십리 지역에서는 전현관직의 비율이 높거나, 농업과 함께 상업의 비율이 높았다. 즉, 타지역의 직업 분포 비율과 비교했을 때 연융대 지역 거주민의 높은 농업 종사 비율은 압도적인 것이다. 또한 거주지의 이동이 적은 특징이 있고, 가택 규모 및 유형의 분포가 한성부 타지역과 비슷하여 대다수 호주의 경제적 능력이 비슷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연융대 지역은 고종대 이후 조선후기에 부여된 공간의 역할과 기능이 소멸되어 거주민의 활동이 농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지역으로 변화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변화는 일제강점기 초기에 토지조사사업의 결과로 작성된 토지조사부의 분석 결과에서도 확인된다. 1912년에 작성된 연융대 지역의 토지조사부를 분석해보니 전체 면적 중 89.3%에 이르는 토지의 지목이 田으로 나타났다. 다른 지역에서는 대지의 면적 비율이 일정 이상을 차지하거나, 오히려 더 높게 나타나는데, 이와 비교했을 때 연융대 지역의 높은 농경지 비율이 더욱 두드러진다. 즉, 토지가 주로 주택지로 이용되고 있는 다른 지역에 비해 연융대 지역은 농경지로서의 특성이 훨씬 강한 지역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연융대 지역의 군사적 기능이 완전히 소멸하고 농경지가 확장되어 지역의 성격이 바뀐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한편, 토지조사부를 통해 연융대 지역의 토지 소유 주체를 분석해 보니 내국인이 소유한 토지가 전체 면적의 92.6%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특히 그 중에서도 연융대 지역의 각 마을에 거주하고 있는 해당 지역 거주민이 소유한 토지 면적의 비율이 전체의 77.4%에 달했다. 반면 일본인들이 많이 거주했던 것으로 알려진 삼판통 지역은 내국인이 보유한 면적이 전체의 27.2%에 그치고 오히려 외국인이 소유한 면적의 비율이 54.6%로 훨씬 높게 나타났다. 즉, 연융대 지역은 일본인들이 주로 거주하던 지역에 비해 외국인 소유 토지의 면적 비율이 낮으며, 그만큼 연융대 지역에 대한 그들의 관심과 주목이 낮았던 것이다. 연융대 지역에 대한 이러한 시각은 개인으로서의 일본인뿐만 아니라 식민 지배자의 관점에서도 드러나는데, 바로 일제강점 초기에 연융대 지역의 행정구역이 경성에서 고양군 소속으로 편입되기 때문이다. 조선후기에 이루어진 한성부 방 편제가 이 지역 공간의 기능이 형성됨에 따른 결과였다면, 일제강점 초기의 고양군 편입은 공간 기능 소멸과 성격의 변화에 따른 결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