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북한 브랜드 로고 디자인에 관한 연구: 김정은 시기 WIPO에 등록된 북한 상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sign of the North Korean Brand Logos: Focusing on the North Korean Trademarks Registered in WIPO during the Kim Jong Un Period

상세내역
저자 김태래, 전병길
소속 및 직함 (재)통일과나눔
발행기관 평화문제연구소
학술지 통일문제연구
권호사항 34(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65-122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북한브랜드   #북한상표   #북한산업디자인   #북한마케팅   #김정은   #김태래   #전병길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는 북한 브랜드 로고의 디자인 분석을 통해 북한 브랜드 로고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북한은 김정은 집권 이후 세계지적재산권기구(이하 WIPO)에 상표 등록을 지속적으로 늘려왔는데 이러한 현상의 단면에는 북한의 정치 경제적 목적과 북한 주민의 소비 트렌드가 반영되어 있다. WIPO에 등록된 북한 브랜드 로고에는 브랜드명, 업종, WIPO 등록일 등이 표기되어 있어 이를 분석함으로써 북한 지도부가 의도하는 북한 브랜드 로고 전략의 단면을 읽어낼 수 있다. 나아가 김정은 시기 WIPO에 등록된 134개의 로고 중 단 9개의 로고만이 단순히 글자로만 이루어져 있거나 그림으로만 이루어진 브랜드 로고이고, 나머지는 글자와 그림이 함께 결합된 형태의 브랜드이다. 이를 심층 분석함으로써 소비적 측면에서 북한 소비자들은 결합 형태의 브랜드 로고를 더 선호한다는 소비 트렌드를 읽을 수 있다. 이러한 현상들이 일어난 배경은 2014년 「사회주의기업책임관리제」를 도입한 이후 기업 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출원되는 북한 상표 전략 역시 급속도로 발전하게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외에도 WIPO에 나타나있지 않은 정보이지만 북한학과 경영학의 관점과 지식을 융합한 질적 연구를 통해 북한 정치 경제적 특징과 사회상, 소비 트렌드의 단면을 추가적으로 읽어낼 수 있었다. WIPO에 등록된 북한 브랜드 로고는 북한 내 사용되는 모든 브랜드 로고를 다루지 않아 표본 수가 절대적으로 적다는 점에서는 한계가 있지만 북한이 산업미술적 측면에서 엄선한 브랜드 로고만을 WIPO에 등록했다는 점을 미루어볼 때 북한이 대외적으로 표방하는 디자인적 철학과 전략 방향을 읽고 예측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가 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