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일차자료분석(primary data analysis)을 토대로 이들의 삶의 만족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순서형 로짓(ordered logit)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북한이탈주민의 삶의 만족에 성별, 연령, 결혼 상태, 직장 유무 등 인구·사회학적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지만 북한이탈주민의 특수한 이주과정으로 인한 제3국의 체류 기간, 정신건강의 위험, 전반적인 건강상태 등도 삶의 만족에 주요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북한이탈주민의 취업 및 구직관련 서비스 수혜 경험은 삶의 만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준 반면, 경제적 어려움에 기반한 절대적 박탈의 수준은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변인들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 특히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의 위험이 이들의 삶의 만족에 심각한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사회의 실질적 통합을 위해 이들의 경제적 자립을 위한 맞춤형 취업 지원정책과 정신건강의 위험을 예방하고 지원할 수 있는 효율적인 보건정책의 수행을 제시한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