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한국인의 이중 사회정체성과 내집단 투사, 남북한 통일태도 간 관계

Relationship Between Dual Social Identity, Ingroup Projection, and Attitudes Toward Unification of Korea

상세내역
저자 이하연, 권영미, 서정길, 박주화, 최훈석
소속 및 직함 성균관대학교
발행기관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학술지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권호사항 36(4)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281-306
발행 시기 2022년
키워드 #이중 사회정체성   #내집단 투사   #내집단 상대적 전형성   #내집단 상대적 불가결성   #남북한 통일태도   #이하연   #권영미   #서정길   #박주화   #최훈석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는 상위수준 한민족 범주와 하위수준 국가(남북한) 범주로 구분되는 층소된 사회정체성 구조에서 상위범주-하위범주 동일시 수준 간 상호작용과 내집단 투사, 남북한 통일에 대한 태도 간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한국인들이 남북한을 포섭하는 공동 상위범주인 한민족에 강하게 동일시하더라도 동시에 하위범주인 남한에 강하게 동일시할 경우, 남한이 북한보다 한민족의 전형적이고 필수적인 집단이라고 지각하는 내집단 투사가 발생하며, 내집단 투사는 통일태도를 부적으로 예측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더해 내집단 투사를 완화하는 기제로 상위범주와 하위범주 정체성 중심성의 역할을 검증했다. 인구비례할당표집으로 수집된 한국 거주 성인 1,600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가설과 일관되게 남한사람들이 한민족과 남한에 동시에 강하게 동일시할수록(즉, 이중 정체성이 우세할수록) 내집단 투사 수준이 높았으며, 이중 정체성은 내집단 투사를 매개로 통일태도를 부적으로 예측했다. 또한, 이중 정체성이 내집단 투사를 예측하는 효과는 구성원들이 하위범주 정체성을 상위범주 정체성보다 중시할 경우 유의했고, 하위범주 정체성을 상대적으로 덜 중시할 경우에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남북한 관계에 관한 심리학 연구에서 층소된 사회정체성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검증해야 하며 이를 반영하는 개입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