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북한이탈 중년여성들의 남한 사회에서의 교육경험 연구 -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Middle-Aged North Korean Refugee Women in South Korean Society - Focused on Graduates from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

상세내역
저자 김선숙, 김서영
소속 및 직함 전북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학술지 문화와융합
권호사항 44(1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443-455
발행 시기 2022년
키워드 #북한이탈주민 중년여성   #고등교육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   #인적자본   #사회적 자본   #김선숙   #김서영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는 북한이탈 중년여성들의 대학 교육의 의미를 분석하고 동시에 고등교육 기회 확장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에는 8명의 북한이탈 중년여성들이 참여했다. 자료는연구참여자들과의 1:1 심층면담을 수행하여 구성했다. 자료는 Colaizzi(1978)가 제시한 기술적 현상학적연구로 자료 분석을 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는 24개의 하위구성요소가 출현했다. 이를9개의 구성요소로 제시했다. 최종적으로 학교, 가족, 인적자본, 사회적 자본이라는 범주로 재배열했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대학 교육의 보편적 가치와 진리, 대학과 사회적 자본과의 관계, 디아스포라로서의귀환과 꿈에 대한 논의를 했고 북한이탈 여성들의 대학 진학과 학업을 지원할 수 있는 제언을 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