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북한이탈 중년여성들의 대학 교육의 의미를 분석하고 동시에 고등교육 기회 확장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에는 8명의 북한이탈 중년여성들이 참여했다. 자료는연구참여자들과의 1:1 심층면담을 수행하여 구성했다. 자료는 Colaizzi(1978)가 제시한 기술적 현상학적연구로 자료 분석을 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는 24개의 하위구성요소가 출현했다. 이를9개의 구성요소로 제시했다. 최종적으로 학교, 가족, 인적자본, 사회적 자본이라는 범주로 재배열했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대학 교육의 보편적 가치와 진리, 대학과 사회적 자본과의 관계, 디아스포라로서의귀환과 꿈에 대한 논의를 했고 북한이탈 여성들의 대학 진학과 학업을 지원할 수 있는 제언을 했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