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연구논문

  • HOME
  • 재단사업
  • 연구논문

북한 주민을 위한 재난대응 핸드북

상세내역
사업수행자 (사)아시아태평양재난관리한국협회(에이팟코리아. A-PAD Korea)
지원사업 연도 2020년
키워드 #재난   #재난대응   #구호
파일 27. 북한 주민을 위한 재난대응핸드북Ver1.0_아태재난관리한국협회.pdf

전문 공개

논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핸드북을 만들기까지
‘에이팟(A-PAD. Asia Pacific Alliance for Disaster Management)’은 아시아 6개국의 재난구호전문기관들이 모여 결성한 민간국제기구입니다. 큰 재난이 발생하면 국경을
뛰어넘어 공동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2015년 네팔에 큰 지진이 일어났을 때 한국,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일본의 에이팟이 네팔에서 만나 이재민을 구호했습니다. 2017년 로힝야 난민 사태 때에는 한국과 일본의 에이팟이 방글라데시 에이팟과 만나 함께 난민 지원에 앞장섰습니다. 2019년 강원도에 큰 산불이 났을때는 일본의 에이팟이 시민모금을 하여 한국 에이팟을 통해 이재민을 돕기도 했습니다. ‘에이팟’은 재난이 발생하여 인도주의적 위기상황이 닥쳤을 때 국경이라는 장벽을 넘어 세계시민이 함께하는 길을 만들고 있습니다. 북한은 아시아에서도 자연재난이 많은 나라입니다. 북한도 다른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재난으로부터 주민들을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는데, 그중에서 에이팟이 도울 방법이 무엇이 있을지를 계속 고민해 오고 있었습니다. 에이팟은 여러 국가에서 수행한 많은 경험으로 평상시의 재난예방활동이 재난의 피해를 얼마만큼 줄일 수 있는지를 잘 이해하고 있기에, 이번에 북한의 재난대응 관계자들에게 도움이 될뿐만 아니라, 주민에게도 바로 도움이 되는 자료를 만들었습니다. 이 핸드북은 ‘에이팟코리아’가 ‘재단법인 통일과나눔’의 지원을 받아 재난안전소셜벤처인 ‘라이프라인코리아’와 협력하여 다섯 분의 재난대응전문가와 재난매뉴얼 제작경험이 풍부한 일러스트레이터를 모시고 작업을 하였습니다. 북한 내에서는 저작권에 구애받지 않
고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으며, 실생활에 필요한 가장 기본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어린이나 청소년도 한 번 보는 것만으로도 바로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구성하였습니다. 아직은 한
국 내에서 만든 버전 1.0의 단계이고, 이후에도 북한의 재난상황 및 사회·문화적 배경에 가장 적합한 내용으로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더 많은 피드백을 반영하고자 합니다. 향후 버전 2.0, 3.0으로 계속 발전하여 실재로 북한의 재난대응관계자 및 주민들이 현실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좋은 지침서가 되기를 희망합니다.

목차
1. 재난 대비
이상 기후로 인한 재난 증가 11 | 평소에주변을 잘 살피기 12 | 가족의 대피 장소를 미리 결정해 두기 13 | 귀가할 수 없을때에는 무리해서 귀가하지 않기 14 | 머리 보호하기 15 | 재난시 대피요령(지진,태풍) 16 | 재난시 대피요령(화재) 17 | 불을 끄는법 18 | 화재발생시 불과 연기로부터안전하게대피하기 19 | 상상을 초월하는 물의 힘 20 | 산사태 전조 현상을 알아두기 21 | 태풍에 대비하기 22 | 태풍의진로에 들어갔을 때 준비해야 할 것 23 | 번개를 피할 때 중요한 것들 24 | 폭설에대비하기 25 | 대피소의 종류 26 | 사생활 보호를 위한 종이상자 칸막이 만들기 27 | 재난 후 평소와는 다른 경계태세를 갖추기 28 | 여성을 노린 범죄를 조심하기 29 | 이웃과 교류하면서 서로 돕기 30

2. 재난생존
임시거처만들기 33 | 페트병을활용하는방법 34 | 테이프를 활용하는 방법 35 | 우비를 활용하는 방법 36 | 광목을활용하는방법 37 | 끈을 활용하는 방법(매듭법) 38 | 잘 꺼지지 않는 양초 만드는 방법 39 | 불피우기 40 | 식량 비축하기 41 | 방향을 찾는방법 42 | 저체온증대처법 43 | 체온유지하기(옷 입는 방법) 44 | 열중증 대처법 45 | 식수구하기 46 | 물에 빠진 사람을 구하는 방법 47 | 신문지를 활용하는 방법 48 | 화장실 만들기 49 | 위생용품만들기 50 | 해충잡는 통만들기 51 | 비상식량 만들기 52

3. 재난의료

응급상황에서의행동지침 55 | 응급처치의원칙 56 | 성인심폐소생술 57 | 소아심폐 소생술 58 | 호흡기계질환응급처치1 59 | 호흡기계질환응급처치2 60 | 순환기계 질환응급처치1 61 | 순환기계질환응급처치2 62 | 소화기계질환응급처치1 63 | 소화기계질환응급처치2 64 | 신경계질환응급처치1 65 | 신경계질환응급처치2 66 | 외상성상처소독방법 67 | 외상성상처붕대법 68 | 외상성출혈응급처치 69 | 사지 손상고정법원칙 70 | 상지손상응급처치1 71 | 상지손상응급처치2 72 | 하지손상 응급처치1 73 | 하지손상응급처치2 74 | 척추손상응급처치1 75 | 척추손상응급처 치2 76 | 사지손상기본응급처치법 77 | 화상응급처치 78 | 흡입응급처치 79 | 감전사고응급처치 80 | 열성질환응급처치1 81 | 열성질환응급처치2 82 | 한랭질환
응급처치1 83 | 한랭질환응급처치2 84 | 코피응급처치 85
응급상황에서의행동지침 55 | 응급처치의원칙 56 | 성인심폐소생술 57 | 소아심폐 소생술 58 | 호흡기계질환응급처치1 59 | 호흡기계질환응급처치2 60 | 순환기계 질환응급처치1 61 | 순환기계질환응급처치2 62 | 소화기계질환응급처치1 63 | 소화기계질환응급처치2 64 | 신경계질환응급처치1 65 | 신경계질환응급처치2 66 | 외상성상처소독방법 67 | 외상성상처붕대법 68 | 외상성출혈응급처치 69 | 사지 손상고정법원칙 70 | 상지손상응급처치1 71 | 상지손상응급처치2 72 | 하지손상 응급처치1 73 | 하지손상응급처치2 74 | 척추손상응급처치1 75 | 척추손상응급처 치2 76 | 사지손상기본응급처치법 77 | 화상응급처치 78 | 흡입응급처치 79 | 감전사고응급처치 80 | 열성질환응급처치1 81 | 열성질환응급처치2 82 | 한랭질환
응급처치1 83 | 한랭질환응급처치2 84 | 코피응급처치 85
응급상황에서의행동지침 55 | 응급처치의원칙 56 | 성인심폐소생술 57 | 소아심폐 소생술 58 | 호흡기계질환응급처치1 59 | 호흡기계질환응급처치2 60 | 순환기계 질환응급처치1 61 | 순환기계질환응급처치2 62 | 소화기계질환응급처치1 63 | 소화기계질환응급처치2 64 | 신경계질환응급처치1 65 | 신경계질환응급처치2 66 | 외상성상처소독방법 67 | 외상성상처붕대법 68 | 외상성출혈응급처치 69 | 사지 손상고정법원칙 70 | 상지손상응급처치1 71 | 상지손상응급처치2 72 | 하지손상 응급처치1 73 | 하지손상응급처치2 74 | 척추손상응급처치1 75 | 척추손상응급처 치2 76 | 사지손상기본응급처치법 77 | 화상응급처치 78 | 흡입응급처치 79 | 감전사고응급처치 80 | 열성질환응급처치1 81 | 열성질환응급처치2 82 | 한랭질환 응급처치1 83 | 한랭질환응급처치2 84 | 코피응급처치 85 | 눈 이물질 응급처치 86 | 상처 이물질 응급처치 87 |기도 이물질 응급처치-성인 88 | 기도 이물질 응급처치 소아, 영아 89 |중독 응급처치 90 | 뱀 물림 응급처치 91 | 벌 쏘임 응급처치 92 |취급 및 후송- 의식 있는 환자 93 |취급 및 후송-의식 없는 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