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연구논문

  • HOME
  • 재단사업
  • 연구논문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남한청소년의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Correlates of Social Distance towards the North Korean Refugees among South Korean Youth

상세내역
사업수행자 김희진
지원사업 연도 2017년
키워드 #사회적 거리감   # Bogardus 척도   # 청소년   # 북한이탈주민   # 집단위협이론
파일 9. 통일나눔재단_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남한청소년의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요인_최종_명지대 김희진 교수.pdf

전문 공개

논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국문 요약>
한국사회가 다문화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다양한 문화 간 상호이해와 사회통합이 중요한 이슈로 등장하였다. 한국의 청소년들은 생애 초기부터 다문화사회에서 살고 있고, 다양한 집단에 대한 이해와 수용 능력을 향상시켜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청소년들이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느끼는 사회적 거리감의 실태를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였다.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방식으로 조사를 수행하였고 325명의 데이터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Bogardus 척도를 사용하여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일반 청소년들의 사회적 거리감 실태를 살펴본 결과, 남한 성인에 비해 청소년들이 북한이탈주민에 대해 사회적 거리감을 덜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가’에서부터 ‘배우자’에 이르기까지 수용하는 비율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지 않고 크게 세 개의 그룹으로 묶이는 특징을 보였다. 즉 남한주민, 직장동료, 이웃, 친구의 경우 75% 안팎의 비슷한 비율을 보였고, 동업자 그룹이 약 50%로 중간에 속하였고, 나머지가 연인과 배우자로서 약 40%의 수용 정도를 나타냈다. 청소년들이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느끼는 사회적 거리감의 영향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Model 1]에서는 통제변수로서 인구사회학적 변수 및 가족 변수를투입하였고 [Model 2]에서는 [Model 1]의 변수를 투입한 후에 본 연구의 주요 변수인 국민정체성, 위협인지, 그리고 인간관계 변수로서 부와의 관계, 모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 친구와의 관계를 투입하였다.

분석결과, [Model 1]에서는 가족변수(β = -1.840, p < .1)와 종교변수(β = 1.994, p < .05)가 사회적 거리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즉 가족 수가 많을수록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청소년들의사회적 거리감이 멀어지고, 규칙적인 종교활동을 하는 청소년이 그렇지 않은 청소년에 비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가깝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Model 2]에서는 종교변수(β = 1.840, p < .1), 위협인지(β =-11.234, p < .001), 모와의 관계(β = 2.516, p < .01), 그리고 친구와의 관계(β = -2.040, p < .05)가 청소년의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규칙적인 종교활동을 하는 청소년이 그렇지 않은청소년에 비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덜 느끼고,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위협을 높게 인지할수록 그들을 수용하기 어려워함으로써 사회적 거리감을 크게 느끼며, 모와의 관계가 좋은 청소년일수록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수용 정도가 높아 사회적 거리감을 덜 느끼고 친구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수용 정도가 낮아져 이들을 더 멀게 느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결과가 가지는 함의와 필요한 개입 방안을 논의하였다.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2.1 사회정체성 이론과 집단위협 이론
2.2 사회적 거리감
2.3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2.4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Ⅲ. 연구방법
3.1 조사방법
3.2 변수 및 측정도구
3.3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4.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4.2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청소년의 사회적
거리감
4.3 주요변수 간 상관관계
4.4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청소년의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이전글, 다음글
다음글 공감한반도-No.3
이전글 군복 입은 수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