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통일과미래
재단사업
연구논문
학술회의
교육지원
프로젝트
뉴스
북한
외교안보
해외자료
통일과미래
웹진
도서
정치/군사
통일/남북관계
경제/과학
사회/문화
지리/관광
법/인권
논문
학술
학위
현안분석
자료실
사진
영상
재단사업
뉴스
도서
논문
자료실
재단사업
연구논문
학술회의
교육지원
프로젝트
뉴스
북한
외교안보
해외자료
통일과미래
웹진
도서
정치/군사
통일/남북관계
경제/과학
사회/문화
지리/관광
법/인권
논문
학술
학위
현안분석
자료실
사진
영상
통일과나눔
통일과미래
뉴스
북한
외교안보
해외자료
통일과미래
웹진
북한
공유하기
공유하기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
URL 복사
HOME
뉴스
북한
https://tongilnanum8000.com//fe/file/imgView.do?val1=/BO00000034/2024/3/27&val2=20240327024847892_1
상세내역
다리 되찾는다 해도 NLL 사수한 그날의 명예와 바꾸지 않겠다
2024년 01월 08일
조선일보
김윤덕기자
연평해전 , 이희완 국가보훈부 차관
원문 보기
주요내용
군인 이희완이 유서를 쓴 건 스물다섯 살 때다. 진해 해군기지에서 서해 2함대 접적(接敵) 해역으로 발령받고 “설레는 마음으로” 유서를 썼다. “그땐 돌도 씹어먹을 만큼 호전적이었죠(웃음). 전투함 타고 적진을 향해 출동하는 장면을 동경했으니까요.”
그러나 머리카락 3개 넣어 밀봉한 유서는 이듬해인 2002년 6월 29일 바다로 가라앉았다. 참수리 357호정과 함께. 월드컵 3·4위전이 있던 날 발발한 제2 연평해전에서다. 북한 경비정이 기습적으로 퍼부은 포탄에 그는 6명의 전우와 오른쪽 다리를 잃었다.
국가보훈부 차관으로 임명된 날, 고등학생 딸이 말했다. “어릴 땐 아빠 다리가 다시 자라나는 줄 알았어. 매일 약을 먹으니까. 크면서 알게 됐지. 한번 잘린 다리는 영원히 자라지 않는다는 걸. 그래서 아빠가 자랑스러워.”
이전글, 다음글
다음글
김정은, 딸 김주애와 닭공장 방문…“인민에게 더 많은 고기·알”
이전글
[단독] 목숨 걸고 탈북했는데 끝은 ‘무연고 사망’…고독사 늘어나는 탈북민
목록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