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위

  • HOME
  • 논문
  • 학위

북한이탈주민의 생애사 연구를 통한 평양시 노동자들의 직업정체성 변화연구

A study using life history research of north korean defectors about their changes of occupational identity while living in pyongyang city

상세내역
저자 공기인
학위 박사
소속학교 숭실대학교 대학원
전공 기독교통일지도자학과(일원)
발행연도 2019년
쪽수 177
지도교수 하충엽
키워드 #공기인   # 북한이탈주민   # 생애사 연구   # 평양시 노동자   # 직업정체성   # 2002년 7·1경제관리개선조치   # 복음의 상황화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들인 평양출신 북한이탈주민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평양시 노동자의 직업정체성 변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은 생애사연구 중 만델바움(Mandelbaum)분석법을 사용하였는데 그 이유는 만델바움의 생애사 분석법이 삶의 영역이 다층적이고 분명하고 급격한 전환점이 관찰되며 그에 따른 적응방법이 뚜렷한 북한주민들의 삶을 이해하고 분석하는데 가장 적절한 방법 중에 하나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국내연구에서는 처음으로 생애사 연구를 통한 평양시 노동자들의 직업정체성 연구라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는 통일의 과정에서 평양시 노동자들에게 사회통합을 달성할 수 있는 지원체계 마련에 궁극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독교 관점에서 평양시 노동자들의 직업정체성과 접촉점을 이루는 복음의 상황화에 대해 연구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생애사 연구를 통한 평양시 노동자들의 직업정체성을 밝히기 위한 연구로서 연구문제는 첫째, 평양시 노동자들의 삶의 영역은 어떠한가 둘째, 평양시 노동자들의 삶의 전환점은 무엇이며 이를 가능하게 한 그 개인적, 사회적 조건들은 무엇인가 셋째, 평양시 노동자들의 독특한 적응방법은 무엇인가였다.
본 연구의 연구참여자는 7·1조치를 경험하고 탈북한 북한이탈 주민으로서 평양에서 직장생활을 경험했고, 현재 남한에서 생활하는 북한이탈주민을 그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심층면담은 한 사람을 출발점으로 점차 그 대상을 확대해 나가는 네트워크 조사방식으로 실시하였다. 이러한 기준으로 5명의 연구참여자들을 선정하였다.
연구자는 질문지를 준비하여 연구참여자들과 심층면담에 착수하였으며 질문지 구성의 형식은 반구조화 된 개방형 질문으로 준비하여 면담을 통해 도출될 수 있는 다양한 자료들을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참여자 5명의 생애사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고 각 생애사의 테마를 부각시키면서 공통의 테마를 추출하기 위해 통합적 내용분석과 범주적 내용분석을 사용하였다. 생애사 자료는 만델바움(Mandelbaum)의 삶의 영역(dimensions), 전환점(turnings), 적응방법(adaptations)의 순서로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 5명의 개인생애사를 관통하는 주제를 직업생활의 관점에서 종합하여 공통된 주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참여자들의 삶의 영역에 나타난 공통주제는 「경제정책 변화의 급물살에서의 삶」, 「제3국에서의 과도기적인 삶」, 「새 출발을 위한 발판으로서의 남한생활」, 「남한에서의 종교생활」등으로 나타났다. 연구참여자들의 전환점은 「7·1경제관리개선조치의 경험」, 「생사를 건 탈북」, 「제3국에서 북한의 현실 직시」, 「낯선 남한 땅에서 살아남기」, 「충성의 대상을 바꿈」으로 요약할 수 있었다. 연구참여자들의 적응방법의 경우 북한에서의 생활에서는 「뒷배경과 돈을 이용하여 생존하기」, 7.1경제관리개선조치 시에는 「현실수용과 시장경제체제 최대한 활용하기」, 해외에서의 삶에서는 「생존본능으로 살아남기」, 남한에서 적응하기에서는 「목표를 세우고 정진하기」, 남한에서의 신앙생활에서는「하나님의 손 붙잡기」 등으로 통합할 수 있었다.
연구참여자 5명의 생애사 연구를 종합해 보면 2002년 7·1경제관리개선 조치를 포함한 시장경제의 영향은 평양시 노동자에게 자율적·적극적·실용적 직업정체성을 형성시키는 긍정적 차원에서의 영향을 언급할 수 있다. 동시에 7·1조치와 시장경제의 영향은 평양시 노동자들에게 물질주의적 가치관 형성과 직업선택의 왜곡현상을 경험하게 했다는 부정적 차원에 대해서도 언급할 수 있다. 결국 7·1조치를 포함한 시장경제는 평양시 노동자의 직업정체성 변화에 긍정적 차원과 동시에 부정적인 차원의 양가적(兩價的) 차원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할 수 있다.
연구자는 연구결과를 근거로 북한이탈주민들의 생애사연구를 통해 평양시 노동자들의 직업정체성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논의하였다. 하나는 긍정적 직업정체성 형성에 대한 것이며 다른 하나는 7·1조치 이후의 직업정체성에 대한 논의이다.
끝으로 이와 같은 논의를 근거로 한국교회가 교회 내에서 북한이탈주민의 신앙교육과 함께 직업윤리를 강화할 수 있는 구체적 프로그램을 제언하였다.


In this study,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with North Korean Defectors from Pyongyang, the researcher studied the changes in the occupational identity of workers in Pyongyang centered on the July Measures for Improving Economic Measures.
The research method used Mandelbaum analysis method during the life history research. The reason is that Mandelbaum's life history analysis understands the lives of North Koreans who have a multi-layered, clear and rapid turning point in their areas of life. It is one of the most appropriate methods for analysis.
This can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 support system for achieving social integration for Pyongyang workers in the process of unification, and is good for the study of the contextualization of the Gospel, which deals with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Christian Gospel and the work identity of workers in Pyongyang. It is expected to provide the ba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occupational identity of workers in Pyongyang through life history research. First, what are the areas of life of workers in Pyongyang? Second, Second, what are the turning points of workers' lives in Pyongyang and what are the personal and social conditions that made them possible? Third, what was the unique way of adaptation for workers in Pyongyang?
Participants in this study experienced the July Measures, North Korean defectors who experienced work in Pyongyang, and selected those who currently live in South Korea.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 a network survey method that gradually expanded the subject from one person to the starting point. Five participants were selected based on these criteria.
The researcher prepared a questionnaire and star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the research participants. The format of the questionnaire was prepared as a semi-structured open question and collected data that can be derived through the interview. In this study, integrated life analysis and categorical content analysis were used to extract common themes while highlighting the themes of life histories of five participants. Life history data were analyzed in order of Mandelbaum's dimensions of life, turnings, and adaptations.
The results of analyzing common themes by combining themes that penetrate the personal life history of five participants from the perspective of professional life are as follows. The common themes in the dimensions of life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appeared as 「Life in Rapid Change of Economic Policy Change」, 「Transitional Life in Third Countries」, 「Life in South Korea as a Foothold for a New Beginning」, 「Religious Life in South Korea」. The turning points of the participants were can be summarized as 「The experiences of the July Measures」, 「Escaping North Korea under life and death」, 「Facing reality of North Korea in third countries」, 「Surviving in unfamiliar South Korea」, 「Changing the object of loyalty」. In the case of adaptation method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could be integrated into 「Surviving with the background and money」 in life in North Korea, 「Accepting reality and making full use of market economy system」 in the July Measures, 「Living by survival instinct」 in overseas life, 「Setting goals and devote themselves」 in surviving in Korea, 「Holding the hand of God」 in the religious life in South Korea.
Taken together, the life history of the five research participants showed that the impact of the market economy, including the July Measures, can refer to the positive impact of creating autonomous, active and practical occupational identity on workers in Pyongyang. At the same time, we can mention the negative dimension that the influence of the July Measures and the market economy caused workers in Pyongyang to experience materialistic values and distortions in job choice. As a result, it can be said that the July Measures had an effect on the change of workers' identity in Pyongyang at both positive and negative level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researcher discussed the occupational identity of workers in Pyongyang through the life history of defectors. One is the formation of positive occupational identity and the other is the discussion of occupational identity after the July Measures.
Finally, based on this discussion, the researcher suggested a specific program to strengthen the work ethic along with the faith education of defectors in the church.
목차
제 1 장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의 의의 5
1.3 연구의 범위 5
제 2 장 선행연구 및 이론적 배경 6
2.1 북한이탈주민 6
2.2 북한의 노동자 12
2.2.1 북한의 공식적인 노동관 13
2.2.2 노동력 배치 15
2.2.3 독립채산제와 북한 공장의 작업장 문화 16
2.3 직업정체성 17
2.3.1 직업의 정의 18
2.3.2 직업정체성의 개념 19
2.4 2002년 7·1경제관리개선조치 21
2.4.1 7·1조치의 배경 22
2.4.2 7·1조치의 개념과 주요내용 23
2.4.3 7·1조치와 직업정체성 25
2.4.4 7·1조치의 평가 및 한계 28
제 3 장 연구방법 30
3.1 생애사 연구 30
3.2 연구참여자 선정 33
3.3 자료수집 34
3.4. 자료분석 35
3.5 연구의 질 검증 36
3.5.1 연구의 엄격성 37
3.5.2 윤리적 고려 37
제 4 장 연구분석 39
4.1 연구참여자 A 39
4.1.1 생애사 재구성 39
4.1.2 삶의 영역 42
4.1.3 전환점 46
4.1.4 적응방법 50
4.1.5 연구분석 요약 53
4.2 연구참여자 B 56
4.2.1 생애사 재구성 56
4.2.2 삶의 영역 59
4.2.3 전환점 65
4.2.4 적응방법 71
4.2.5 연구분석 요약 76
4.3 연구참여자 C 79
4.3.1 생애사 재구성 79
4.3.2 삶의 영역 82
4.3.3 전환점 85
4.3.4 적응방법 88
4.3.5 연구분석 요약 93
4.4 연구참여자 D 96
4.4.1 생애사 재구성 96
4.4.2 삶의 영역 100
4.4.3 전환점 103
4.4.4 적응방법 106
4.4.5 연구분석 요약 110
4.5 연구참여자 E 113
4.5.1 생애사 재구성 113
4.5.2 삶의 영역 118
4.5.3 전환점 122
4.5.4 적응방법 125
4.5.5 연구분석 요약 129
제 5 장 적용을 위한 심층분석 131
5.1 삶의 영역에 나타난 공통주제 131
5.2 삶의 영역에 나타난 직업정체성의 변화 136
5.3 전환점에 나타난 공통주제 136
5.4 전환점에 나타난 직업정체성의 변화 141
5.5 적응방법에 나타난 공통주제 141
5.6 적응방법에 나타난 직업정체성의 변화 146
5.7 소결 147
제 6 장 결론 및 논의 150
6.1 연구의 결론 150
6.2 연구의 논의 151
6.3 연구의 제한점 153
6.4 제언 및 후속연구의 필요성 154
6.4.1 제언 154
6.4.2 후속연구의 필요성 155
참고문헌 157
부 록 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