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표 목 차 Ⅳ
그림목차 Ⅴ
국문요약 Ⅵ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제2절 연구목적 ?
제3절 용어의 정의 7
1. 북한이탈주민 7
2. 직업전환 8
제2장 이론적 배경 11
제1절 북한이탈주민 기혼여성과 직업 11
1. 북한이탈주민 기혼여성의 현황 및 이해 11
2. 북한이탈주민 「취업 지원제도」 주요 내용 14
3. 북한이탈주민 기혼여성의 직업 현황 17
4. 북한이탈주민 기혼여성의 직업생활에 대한 이해 19
제2절 직업전환에 관한 이론적 고찰 22
1. 진로 전환이론(Career Transition) 22
2. 인적자본이론(Human Capital Theory) 25
3. 사회적 자본이론(Social Capital Theory) 28
4. 노동시장 분절이론(Segmented Labor Market Theory) 30
5. 노동시장에서 차별(Discrimination) 32
6. 레질리언스(Resilience)와 임파워먼트(Empowerment) 34
제3장 연구 방법 38
제1절 근거이론 38
제2절 연구참여자 40
제3절 자료 수집 41
제4절 분석 방법 42
제5절 연구의 엄격성 46
제4장 연구 결과 48
제1절 연구참여자의 일반적 특성 48
제2절 개방 코딩 51
제3절 축 코딩 129
1.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분석 129
2. 과정 분석 144
제4절 선택 코딩 150
1. 핵심 범주 150
2. 이야기 윤곽(Story Line) 152
3. 가설적 정형화 및 관계 진술 155
4. 핵심 범주에 대한 유형 분석 162
제5절 상황 모형 168
1. 개인 수준 170
2. 가족 수준 171
3. 조직 수준 172
4. 사회·국가 수준 173
제5장 논의 및 제언 175
제1절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 175
1. 연구 결과 요약 175
2. 논의 179
제2절 정책적·실천적 제언 191
제3절 연구의 의의 199
제4절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200
참고 문헌 201
부록 218
Abstract 219"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