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위

  • HOME
  • 논문
  • 학위

북한의 선전선동 연구 : 구호 변화(1948-2021)를 중심으로

A Study of North Korean Propaganda : Focusing on Changes in Slogans from 1948 to 2021

상세내역
저자 정원희
학위 박사
소속학교 고려대학교 대학원
전공 북한학과
발행연도 2023년
쪽수 535
지도교수 임재천
키워드 #정원희   # 북한   # 선전   # 구호   # 슬로건   # 성장   # 프로파간다   # 전체주의   # 언어   # 담론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는 지난 70여 년간 북한 정권이 지속되는 데 선전선동의 힘이 크게 작용하였다고 보고, 북한 선전선동이 어떻게 추진, 변화하면서 체제 유지에 기여해왔는지 밝히고자 한다. 초기부터 북한은 소련의 영향을 받아 대중교양 수단으로써 선전선동 사업을 비중 있게 다루어왔으며, 당의 노선과 정책에 대하여 대중의 언어인 구호를 통해 간결하고 명확하게 표현하고자 했다. 언어적 상징으로서 구호에는 해당 시점에서 북한 정권이 대내외 정세를 어떻게 인식하는지, 시대정신에 따라 자신들의 정체성을 어떻게 규정하는지, 새로운 도전과제에 대응하고자 수립한 국가목표와 전략이 무엇인지가 함축적으로 담겨있다.
본 연구에서는 1948년부터 2021년까지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가 발표하는 구호(당 중앙위 구호)와 노동신문 1면에 제호 옆에 제시되는 구호(노동신문 제호 구호)를 전수 수집하였다. 해당 구호들을 정치·군사, 경제, 사회, 대외·통일 분야로 분류하여 북한 역사의 전개 과정에 따라 어떠한 정책 분야가 중점이 되어왔는지 전체적인 맥락에서 살펴보았다. 북한 역사의 전개 과정은 1)김일성 시기1(1948-1967): 체제 건설기, 2)김일성 시기2(1967-1994): 체제 공고화기, 3)김정일 시기(1994-2011): 위기 극복기, 4)김정은 시기(2011-2021): 경제·핵 동시발전기로 구분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체제 건설기’ 동안 경제 구호가 가장 많이 등장했으며 1950년대 김일성의 권력 부상과 함께 김일성을 상징하는 언어들이 점차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1960년대 들어 중소분쟁이 가시화되자 대외 분야에 소련, 중국에 대한 언급이 줄었고 주체를 내세우는데 중점을 두었다. 둘째, ‘체제 공고화기’ 동안 정치행사를 기념하여 당 중앙위 구호 발표가 재개되었고 여러 분야 구호들이 정치 용어와 결부되어 나타났다. 김정일이 후계자로서 입지를 다져감에 따라 정치사상 강화 및 경제발전이 주요 목적이 되었고, 비교적 안정적으로 체제가 공고화되는 과정에서 당 중앙위 구호는 분야별로 고르게 분포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 맥락에서 수령의 위대성을 과시하는 상투적인 구호가 형성되었고 화려한 미사여구를 활용하여 당에 대한 충실성, 후계자 권력의 정당성을 강화하며 경제성과를 추동하였다. 셋째, ‘위기 극복기’ 동안 김정일의 선군정치에 따라 군이 우선시되면서 정치·군사 구호 수가 증가하였고, 김일성에 대한 상징어가 여러 다양한 용어들과 결부되면서 그 의미가 확장되었다. 혁명적 군인정신을 강조하는 극단적인 표현이 나타났고, 대내외 위기 상황에서 구호는 그 자체로 최고지도자의 위대성과 체제의 건재함을 과시하는 형태로 고착되었다. 넷째, ‘경제·핵 동시발전기’ 동안 핵 개발을 통해 체제에 대한 자신감이 더해지면서 김정은에 대한 언급이 증가하였고 김정은 유일권력에 대한 상징이 강화되었다. 김정은이 인민을 위한 경제발전을 내세우면서 경제 분야에서 다루는 세부 영역이 더 넓어지고 구체화된 형태로 나타났다.
북한 구호에 나타난 주요 특성으로는 첫째, 구호의 변화는 체제가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거나 정치적 안정이 필요할 때 두드러진다. 둘째, 지도자 교체 시기가 다가올수록 다음 시대에 나올 특성들이 미리 감지된다. 셋째, 대외적 환경변화에 따른 북한 지도부의 입장과 전략 변화가 명확히 반영된다. 넷째, 대외·통일 구호는 김정일 시대부터 급격하게 줄어들며 김정은 시대에 들어 매우 적은 부분을 차지한다. 다섯째, 구호의 출현과 지속 기간 등을 미루어 성공한 정책과 실패한 정책이 무엇인지 가늠할 수 있다는 점이다.
북한에서 선전선동은 체제의 생존 방식이나 다름없다. 북한이 최고지도자를 중심으로 고도로 통합되어 있고 사회 전역에 걸쳐 정치화를 이룬 전체주의 국가이며, 광범위한 영역에서 상징과 의례를 통한 상징권력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구호가 갖는 허상적, 비현실적 특성을 차치하고서라도 북한에서 선전선동은 지도부가 가장 중요시해온 부분이며 다른 모든 부정적 문제들을 오랜 기간 짊어지면서도 체제를 이끌어온 강력한 무기로 작용했다. 본 연구는 정권 수립 이후부터 현재까지 전 범위에 걸친 북한 구호를 전체적으로 조망하여 북한 선전선동의 특성과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체제의 존속 요인을 규명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rgues that the power of propaganda and agitation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sustaining the North Korean regime over the past 70 years,
and aims to clarify how the promotion of and changes in propaganda and
agitation have contributed to the maintenance of the North Korean regime.
From the beginning, North Korea, under the influence of the Soviet Union,
has valued propaganda and agitation as a means of public education, and
tried to express the party’s line and policies in a concise and clear manner
through slogans in the common language of the people. As a linguistic symbol,
slogans convey how the North Korean regime perceives the internal and
external situation at that time, how it defines its identity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times and what national goals and strategies it has established to
respond to new challenges.
In this study, slogans announced between 1948 and 2021 by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Workers’ Party of Korea (Party Central Committee Slogan)
and slogans printed next to the title on the front page of the Rodong Sinmun
(Rodong Sinmun Title Slogan) were collected. These slogans were classified
into political/military, economic, social, and foreign relations/unification fields,
and which policy areas were the focus in each time period was examined
in the overall context. The development process of North Korean history
can be divided up as follows: 1) Kim Il-sung Period 1 (1948-1967): System
Building Period, 2) Kim Il-sung Period 2 (1967-1994): System Consolidation
Period, 3) Kim Jong-il Period (1994-2011): Overcoming Crisis Period, 4) Kim
Jong-un period (2011-2021): Simultaneous Economic and Nuclear Development
Period.
The study’s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during the ‘system building
period,’ economic slogans appeared the most, and as Kim Il-sung’s power
increased in the 1950s, slogans highlighting Kim Il-sung gradually began to
become prominent. Then in the 1960s, as the Sino-Soviet split developed,
references to the Soviet Union and China in foreign slogans changed and
Juche gradually began to appear. Second, in commemoration of political events
during the ‘system consolidation period,’ the announcement of slogans by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Party was resumed, and North Korean slogans
changed to focus on politics. As Kim Jong-il consolidated his political
position as the successor, the main objectives were to strengthen political
ideology and develop the economy. However, in the process of consolidating
the regime into a relatively stable position, the Party Central Committee
slogans showed the most even distribution between each slogan type defined
above. In the overall context, the stereotypical slogans showing off the
greatness of the leader were coined, and splendid rhetoric was used to promote
loyalty to the party, to strengthen the legitimacy of the successor’s power
and to drive economic progress. Third, during the ‘overcoming crisis period,’
the number of political and military slogans increased as the role of the
military was emphasized according to Kim Jong-il’s military-first policy, and
a more significant number of terms were used to signify and emphasize Kim
Il-sung’s meaning and importance. Extreme expressions appeared, highlighting
the revolutionary spirit of soldiers, and in this time of internal and external
crisis, the slogan itself became fixed as a symbol of the greatness of the
supreme leader and the soundness of the system. Fourth, as the regime’s
self-confidence increased as a result of its nuclear development during the
‘simultaneous economic and nuclear development period,’ references to Kim
Jong-un increased and the symbol of Kim Jong-un’s monolithic power was
further strengthened. In addition, the detailed areas dealt with in the economic
field appeared in a broader and more concrete form under the purpose of
economic development for the benefit of the peopl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slogan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hanges in North Korean slogans are noticeable at times when
the regime faces difficult situations or needs political stability. Second, as
the time for a leadership handover approaches, characteristics that will emerge
in the next era are sensed in advance. Third, changes in the position and
strategy of the North Korean leadership reflecting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 are clearly seen. Fourth, foreign relations and unification-related
slogans drastically decrease from the Kim Jong-il era, and account for a very
small proportion of slogans in the Kim Jong-un era. Fifth, by inferring from
the timing of the emergence of slogans and their duration, it is possible to
gauge which policies have succeeded and which have failed.
Propaganda is one of the key instruments of North Korean regime for
its survival, inasmuch as North Korea is a highly integrated totalitarian state
centered on the supreme leader and has politicized every sphere of society,
and is based on symbolic power expressed through symbols and rituals in
a wide range of areas. Despite the fanciful and unrealistic nature of slogans,
propaganda in North Korea is regarded by the leadership as extremely
important, and it has served as a powerful weapon to support the regime
for a long time despite all the problems it faces. This study’s significance
is that it has sought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maintained the system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and changes in North Korean propaganda
and agitation by looking at the entire range of North Korean slogans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regime to the present
목차
제1장 서 론 1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1. 문제제기 1
2. 연구목적 3
제2절 기존연구 검토 7
1. 선전선동의 수단, 방식에 관한 연구 9
2. 특정 분야의 선전선동에 관한 연구 16
3. 상징정치에 관한 연구 27
4. 구호를 분석대상으로 한 연구 32
제3절 연구대상 및 방법, 논문 구성 39
1. 연구대상 39
2.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41
3. 논문의 구성 46
제2장 이론적 논의 48
제1절 선전선동 48
1. 선전과 커뮤니케이션 48
2. 선전선동의 역사와 의미 50
3. 선전의 성격과 기능 58
4. 전체주의와 선전 62
제2절 상징정치 67
1. 상징의 기능과 분류 69
2. 정치적 상징과 상징조작 72
제3절 구호 77
1. 구호의 개념과 특성 77
2. 구호를 보는 관점 86
3. 사회주의 체제의 구호: 소련의 사례 90
제4절 분석틀 95
1. 분석 관점 95
2. 분석 모형 97
제3장 북한의 선전선동과 구호 100
제1절 북한 선전선동의 구조와 특성 100
1. 선전선동의 개념과 기본 목적 100
2. 선전선동부 구조와 기능 105
3. 당의 10대 원칙과 선전선동 112
제2절 북한의 구호 115
1. 북한 구호의 개념과 작성 115
1) 구호의 개념과 역할 115
2) 구호 작성과 배포 119
2. 주변국의 영향과 구호 전개 123
1) 해방 이후 소련의 영향 123
2) 김일성의 어록과 중국의 영향 126
3) '자력갱생'의 사례 129
3. 북한 구호의 내부적 기원과 주요 특징 135
1) 김일성 항일무장투쟁과 구호 135
2) 김정일 시기 4대 제일주의 구호 140
제3절 분석자료: 당 중앙위 구호와 노동신문 제호 구호 143
1. 당 중앙위 구호 143
2. 노동신문 제호 구호 151
3. 구호의 분류 기준 155
제4장 김일성 시기1(1948-1967): 체제 건설기 169
제1절 개괄 169
1. 당 중앙위 구호 170
2. 노동신문 제호 구호 173
제2절 정치군사 분야 176
1. 구호의 전개와 변화 176
1) 당 중앙위 구호 176
2) 노동신문 제호 구호 181
2. 주요 특성 186
1) '김일성 장군'에서 '경애하는 수령'으로 186
2) 혁명전통, 공산주의 사상과 '주체' 194
3) 기념일 구호에 나타난 김일성에 대한 언급 198
제3절 경제 분야 202
1. 구호의 전개와 변화 202
1) 당 중앙위 구호 202
2) 노동신문 제호 구호 208
2. 주요 특성 212
1) 중공업 우선 발전과 경공업농업 동시 발전 212
2) '쌀은 사회주의다' 214
제4절 사회 분야 217
1. 구호의 전개와 변화 217
1) 당 중앙위 구호 217
2) 노동신문 제호 구호 221
2. 주요 특성 224
1) '천리마작업반 운동에 적극 참가하라!' 224
2) 의무교육제 실시 228
3) 당의 적극적 후비대(後備隊)로서 청년 역할 230
제5절 대외통일 분야 232
1. 구호의 전개와 변화 232
1) 당 중앙위 구호 232
2) 노동신문 제호 구호 237
2. 주요 특성 242
1) '위대한 쏘련을 선두로 한 사회주의 통일 단결 만세!' 242
2) 통일논의와 연방제 제안 245
제6절 소결 247
제5장 김일성 시기2(1967-1994): 체제 공고화기 253
제1절 개괄 253
1. 당 중앙위 구호 255
2. 노동신문 제호 구호 259
제2절 정치군사 분야 261
1. 구호의 전개와 변화 261
1) 당 중앙위 구호 261
2) 노동신문 제호 구호 266
2. 주요 특성 274
1)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의 주체사상으로 튼튼히 무장하자!' 274
2) '혁명위업을 대를 이어 계승완성하자!' 278
제3절 경제 분야 283
1. 구호의 전개와 변화 283
1) 당 중앙위 구호 283
2) 노동신문 제호 구호 287
2. 주요 특성 292
1) '대안의 사업체계를 철저히 관철하자!' 292
2) 경제목표 달성을 위한 속도전 전개 294
3) 대외무역의 난관 298
제4절 사회 분야 300
1. 구호의 전개와 변화 300
1) 당 중앙위 구호 300
2) 노동신문 제호 구호 303
2. 주요 특성 308
1) '사상도 기술도 문화도 주체의 요구대로!' 308
2) '생산도 학습도 생활도 항일유격대식으로!' 311
3) 문화예술, 출판 분야의 사상성과 선전 314
제5절 대외통일 분야 316
1. 구호의 전개와 변화 316
1) 당 중앙위 구호 316
2) 노동신문 제호 구호 320
2. 주요 특성 325
1) '쁠럭불가담나라들과의 단결과 협조를 강화하자!' 325
2) 남북관계 발전과 이면(裏面), 조선민족제일주의 328
제6절 소결 332
제6장 김정일 시기(1994-2011): 위기 극복기 338
제1절 개괄 338
1. 당 중앙위 구호 339
2. 노동신문 제호 구호 341
제2절 정치군사 분야 342
1. 구호의 전개와 변화 342
1) 당 중앙위 구호 342
2) 노동신문 제호 구호 347
2. 주요 특성 350
1) '혁명의 붉은기를 높이 들고 전진, 전진, 투쟁 또 전진하자' 350
2) '모두가 펄펄 나는 일당백의 싸움군으로 준비하라!' 353
3) 화선식 정치사업과 선전선동 356
제3절 경제 분야 358
1. 구호의 전개와 변화 358
1) 당 중앙위 구호 358
2) 노동신문 제호 구호 361
2. 주요 특성 364
1) '당이 결심하면 우리는 한다!' 364
2) 강성대국을 위한 경제강국 367
3) '우리 당의 과학중시사상을 빛나게 실현하자!' 369
제4절 사회 분야 372
1. 구호의 전개와 변화 372
1) 당 중앙위 구호 372
2) 노동신문 제호 구호 376
2. 주요 특성 378
1) '하나는 전체를 위하여, 전체는 하나를 위하여' 378
2) '모두다 영웅적으로 살며 투쟁하자!' 380
3) '우리의 사회주의 민족문화를 전면적으로 개화발전시키자!' 382
제5절 대외통일 분야 384
1. 구호의 전개와 변화 384
1) 당 중앙위 구호 384
2) 노동신문 제호 구호 387
2. 주요 특성 389
1) 전방위 외교의 도전과 실패 389
2) 대남협상을 통한 돌파구 마련 노력 391
제6절 소결 393
제7장 김정은 시기(2011-2021): 경제핵 동시발전기 399
제1절 개괄 399
1. 당 중앙위 구호 400
2. 노동신문 제호 구호 403
제2절 정치군사 분야 404
1. 구호의 전개와 변화 404
1) 당 중앙위 구호 404
2) 노동신문 제호 구호 408
2. 주요 특성 411
1) '온 사회를 김일성-김정일주의화하자!' 411
2) '백두의 혁명정신은 영원한 조선의 정신이다!' 414
3) '위대한 인민을 위하여 멸사복무하자!' 417
4) 노동신문 제호의 기념일 구호 변화 420
제3절 경제 분야 423
1. 구호의 전개와 변화 423
2. 주요 특성 427
1) '천년을 책임지고 만년을 보증하자!' 427
2) '전 사회적으로 환경보호, 자연보호사업을 힘있게 벌리자!' 429
3) '콩농사, 수산, 축산의 3대열풍을 더욱 세차게 일으키라!' 431
4) 우리식 경제관리방법과 만리마속도 433
제4절 사회 분야 435
1. 구호의 전개와 변화 435
2. 주요 특성 438
1) '세계와 경쟁하라, 세계에 도전하라, 세계를 앞서나가라!' 438
2) '경애하는 김정은동지께 끝없이 충직한 청년전위가 되라!' 440
제5절 대외통일 분야 443
1. 구호의 전개와 변화 443
2. 주요 특성 445
1) '미제의 반공화국 인권 책동을 단호히 짓부셔버리자' 445
2) 민족과 통일에 대한 인식 변화 447
제6절 소결 449
제8장 결 론 455
참고문헌 469
부 록 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