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위

  • HOME
  • 논문
  • 학위

평신도의 선교적 환대에 관한 연구 : 북한이탈주민 정착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f Lay Christians’ Missional Hospitality With Focus on the Settlements of North Korea Defectors on South Korea

상세내역
저자 김민희
학위 박사
소속학교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전공 기독교통일지도자학과(일원) 기독교통일지도자학
발행연도 2023년
쪽수 195
지도교수 김회권
키워드 #김민희   #평신도   #하나님의 선교   #선교적 교회   #선교적 환대   #환대   #북한이탈주민   #북한이탈주민 정착"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선교적 교회의 핵심 구성원인 평신도의 삶을 추적해 환대의 실천사례를 분석하고 그것의 실천적 함의를 탐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북한이탈민들의 남한정착을 도왔던 평신도 선교사들의 ‘선교적 환대’를 심층적으로 연구한다. 이 논문에서 말하는 ‘선교적 환대’(Missional Hospitality)는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의 일환으로 평신도가 세상 한복판에서 보여주는 삶을 통한 복음 증언으로서 철저한 타자 중심적 자비사역을 가리킨다.
본 논문은 그동안 교회 중심으로 머물러 있던 성도들의 신앙생활이 삶의 현장으로까지 나아가기를 촉구하며, 성도들이 선교적 공동체로서의 임무를 감당할 때 그들의 세상에서의 삶이 지역과 사회가 생명력을 얻는 하나님의 나라와 연결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평신도는 교회와 사회를 연결해주는 유일한 통로로 자신의 삶의 현장과 일터가 선교의 중심지인 것을 인식하는 사람들이다. 이들의 세속적 임무(secular order)는 ‘선교적 노력’으로 빚어져 ‘행동’으로 나타날 때 ‘복음’으로 전해질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실천은 사회적으로 고립되고 연약한 사람들을 자신의 삶으로 초청해 마음·물질·시간의 공간을 내어주는 것으로 실행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와 관련해 연구자는 자신의 관점 보다 평신도의 삶의 현장 중심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고, 그들의 경험을 관찰하고 분석해 재구성하는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채택했다.
질적 연구의 장점 중 하나는 연구자의 관점과 연구 참여자의 관점의 부딪침에서 새로운 통찰을 제공해 또 다른 관점의 질문을 생성해주는 데 있다. 이러한 점에서 문화인류학적 사례연구 방법은 오늘날 선교적 공동체로서 평신도의 ‘실천적 행동 모델’의 특성을 분석하는 데 적합하다. 그것은 평신도의 일터 현장을 중심으로 공간적 의미와 행위로 나타나는 다면적 관계성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도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서 구체적인 타자 중심의 선교적 방식은 참된 공동체로서 뿐 아니라, 개인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유익한 연구로 강력하게 추천될만하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기존 연구의 이론적 틀에서 벗어나 참여자의 생생한 현장 이야기나 행동에서 발견되는 실제적인 연구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평신도의 환대실천 대상을 북한이탈주민으로 설정했다. 북한탈주민의 정착문제를 돕는 일에서 있어서 사회와 교회는 제한된 역할을 하는 데 비해, 세속 직업을 가지고 있는 평신도는 북한이탈주민을 정착시키기에 유리한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자신의 일터를 중심으로 북한이탈주민을 환대해 정착시킨 평신도 3명과 그 대상이 되는 북한이탈주민 3명의 삶을 탐색해 동시에 문화기술지면담을 실시했다. 이에 따라 인류학에서 발생된 에믹코딩(emic coding, 내부자·평신도)과 에틱코딩(etic coding, 외부자·북한이탈주민) 방법을 사용해 평신도의 선교적 환대 실천사례의 분석 결과를 도출했다. 이러한 분석방법은 이론적 연구에서 발견되지 못한 평신도의 내부적 관점을 도출해 줄 뿐만 아니라, 북한이탈주민의 외부적 관점을 포함시켜 결론적으로 타자 중심의 선교적 실천 방안을 모색하게 해준다.
오늘날 북한이탈주민은 1990년대의 식량위기로 인해 이주하는 세대를 지나 자신의 삶의 발전에 기반한 이주의 세대로 변화되고 있다. 그러므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기존의 집단적 인식 관점의 연구에서 벗어나 개인의 삶에 초점을 맞춘 질적 연구는 더 많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평신도를 통해 한국 사회에 잘 정착한 북한이탈주민 개인의 사례를 중심으로 평신도의 행동을 분석해 기존 정착 문제의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 더불어 북한이탈주민의 차별과 편견의 문제가 평신도의 환대의 실천적 삶을 통해 개선되기를 희구해 본다.
지난 4년간 지속된 코로나 19(COVID-19)는 일그러진 창조 세계가 우리에게 보내는 적신호였음이 밝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세상과 사회를 치유하기 위한 공동체로서 한국 교회의 무게가 막중해졌다. 그러므로 기존의 교회들은 영적인 잠에서 깨어나 ‘선교적 교회’로서 전환의 시대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교회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성도들은 교회의 높은 담장을 넘어 세상으로 나아가 ‘선교적 사명’을 감당해야 한다. 가장 먼저는 가정과 지역, 그리고 사회의 현장과 일터에서 선교사로 부름 받았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선교적 삶으로 복음의 빛’을 비추어야 할 것이다. “진리로 고백하는 것은 말과 행동과 삶의 모든 방식에서 감연히 실천되어야 한다”는 존 칼빈의 고백처럼 흩어진 평신도들의 선교적 환대의 삶은 한국 교회를 살리고, 세상을 치유하는 유일한 ‘선교적 도구’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목차
"제 1 장 서론 1
1.1 연구목적과 동기 1
1.2 기존 연구 검토 8
1.3 연구문제 및 연구범위 17
제 2 장 이론적 배경 21
2.1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 이해 21
2.1.1 삼위일체 하나님의 선교 21
2.1.2 선교적 교회(Missional Church)로의 부르심 24
2.1.3 선교적 공동체로서 평신도 27
2.1.3.1 평신도의 선교적 부르심 29
2.1.3.2 평신도의 부르심에 합당한 삶 33
2.2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와 환대 36
2.2.1 선교적 방법으로의 환대 36
2.2.2 공간과 장소감의 환대 40
2.2.3 환대의 두 가지 양상 43
2.2.3.1 ‘자기성’(自己性)과 폭력적 환대 45
2.2.3.2 ‘타자성’과 상호적 환대 · 48
2.3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와 북한이탈주민 51
2.3.1 북한사회와 북한이탈주민 환대 51
2.3.1.1 폭력적 공간의 북한 53
2.3.1.2 폭력적 공간으로부터 이탈 55
2.3.1.3 북한이탈주민의 다중정체성 · 58
2.3.2 한국사회와 북한이탈주민 환대 61
2.3.2.1 환대의 공간으로서 직장 62
2.3.2.2 환대의 장소감을 잃은 교회 64
2.3.3 북한이탈주민의 정착문제 69
2.3.3.1 일방적인 지원의 문제 69
2.3.3.2 언어사용의 문제 72
2.4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와 선교적 환대(Missional Hospitality) 75
2.4.1 공감과 연대(連帶) 75
2.4.2 상호적 동등성과 친밀한 교류 78
2.4.3 타자 중심의 베풂 80
제 3 장 선교적 환대의 실천 사례 83
3.1 연구방법 83
3.2 연구설계 86
3.3 연구자의 현장역할 이해 88
3.4 자료수집 방법 89
3.4.1 연구참여자 선정 89
3.4.2 면담시행 92
3.5 자료분석 방법 94
제 4 장 선교적 환대의 실천사례 분석 결과 97
4.1 평신도의 사례분석 결과 97
4.1.1 일터선교지 인식에 대한 3개 유형의 공통된 특성 99
4.1.2 선교적 교육 유형: 가찬미 105
4.1.2.1 친밀한 교제 106
4.1.2.2 공감과 수용 110
4.1.3 선교적 기업유형: 권하연 113
4.1.3.1 유연성 있는 태도 115
4.1.3.2 진정성 있는 노력 119
4.1.4 선교적 비즈니스 유형: 황진솔 123
4.1.4.1 그대로를 존중 124
4.1.4.2 수평적 협력 128
4.2 북한이탈주민의 사례분석 결과 132
4.2.1 선교적 교육 유형: 가찬미 134
4.2.1.1 지속적인 관심의 연결고리 136
4.2.1.2 진정성을 겸비한 부모역할 141
4.2.2 선교적 기업 유형: 권하연 145
4.2.2.1 포기하지 않는 기다림 149
4.2.2.2 품격 있는 언어 표현 154
4.2.3 선교적 비즈니스 유형: 황진솔 160
4.2.3.1 타자 중심의 자기성찰 163
4.2.3.2 지속적인 연결의 공급자 168
4.2.4 환대실천의 공통된 패턴 분석 173
4.2.5 환대실천의 공통된 상호관계 분석 · 174
4.3 연구결과의 타당성 검토 176
4.3.1 사실적 가치(truth value) 176
4.3.2 적용성(applicability) 177
4.3.3 일관성(consistency) 178
4.3.4 중립성(neutrality) 178
제 5 장 결론 180
5.1 연구요약 및 함의 180
5.1 선교적 교회를 위한 제언 186
참고문헌 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