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위

  • HOME
  • 논문
  • 학위

북한관광열차 여행상품의 가치추정

Valuing the Tour Package of a Sightseeing Train Bound for North Korea

상세내역
저자 이민석
학위 박사
소속학교 세종대학교 대학원
전공 호텔관광경영학과
발행연도 2019년
쪽수 116
지도교수 이희찬
키워드 #철도관광   #관광전용열차   #북한여행상품   #북한관광열차   #북한관광동기   #CVM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2018년은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세 차례의 남북정상회담과 한 차례의 북미정상회담이 연속으로 열리면서 종전선언과 평화시대의 기대감을 높였으며, 특히 11월 30일에는 유엔의 승인을 받아 남북철도 공동조사가 시행된 매우 의미 있는 한 해였다. 본 연구에서는 남북철도가 연결될 것을 가정하여 관광열차를 이용하여 여행하는 관광교류를 가상의 상황으로 하여, 연구를 시작하였다.
우리나라의 철도관광상품은 1985년 철도청에서 개발한 서울-경주 간 ‘신혼열차’를 시작으로 90년대 후반까지 다양한 철도상품이 개발되어 인기를 누려왔다. 그러나 자동차의 보급으로 인한 이동의 편리함과 국내선 항공기 및 국토면적에 따른 관광지 개발의 한계 등의 이유로 철도관광이 국내 관광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 그러나 21세기 이후 고령인구가 증가하고, 환경오염의 심각성 등으로 탈도시화 현상이 지속되고 있으며, ‘녹색성장’이라는 세계적 패러다임의 변화에서 철도는 차세대 관광 교통수단으로서 다시 주목받고 있다. 특히 관광열차와 여행서비스가 결합된 관광전용열차 여행상품은 코레일의 5대 철도관광벨트 프로젝트를 통해 활발하게 개발 및 운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관광전용열차의 활성화와 제한적인 국토면적에 따른 관광지 개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가시권 안에 들어와 있는 북한관광을 가상의 상황으로 북한관광열차 여행상품의 가치를 추정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관광전용열차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 관광동기, 소비유형 등의 기술분석을 통해 관광전용열차에 대한 인지도 및 가치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등을 파악하였다. 셋째, 북한관광열차의 지불의사를 통해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에 근거하여 북한관광열차의 지불의사금액은 만 20세 이상의 전국 성인을 대상으로 조건부가치평가법(CVM)을 적용하여 추정하였다. 설문지 타입은 현재 국내 K여행사에서 판매하고 있는 국내관광전용열차의 가격(1박2일)을 기준으로 정하고 4개의 가격대(A타입: 200,000원, B타입: 400,000원, C타입: 600,000원, D타입: 800,000원)로 구분하여 각각 150부, 총 6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총 565부의 유효 표본을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북한관광열차의 가치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중 북한관광동기요인에서는 ‘관광자체 매력’요인과 ‘북한관광의 특수성’ 요인이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비성향 요인에서는 ‘자기과시성향’요인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건부가치평가법(CVM)에 의한 가치추정을 위해 이중 양분선택법을 사용하여 북한관광열차 여행상품의 지불의사액은 123, 251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관광전용열차에 대한 인지도 및 이용의사에 대한 파악으로 북한관광이 가시화되었을 때, 북한관광열차 여행상품의 가치를 계량적으로 추정함으로써 기존의 연구와 차별화를 가졌다. 특히 남북철도가 연결되었을 때를 가상의 상황으로 설정하여 북한관광을 포함한 북한관광열차 상품의 경제적 가치를 계량화를 추정하고자 한 것은 관광전용열차를 이용한 남북간 관광인적교류의 활성화에 기초자료 및 이론적 근거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목 차

제 1 장 서론
제 1 절 연구의 배경
제 2 절 연구의 목적 5
제 3 절 연구의 방법 및 구성 7
1. 연구의 방법 7
2. 연구의 구성 7


제 2 장 이론적 배경 9
제 1 절 관광열차 9
1. 관광열차의 개념 9
2. 국내 관광열차의 현황 12
3. 국내외 관광광전용열차의 종류 14
4. 해외 관광전용열차 사례 27

제 2 절 북한관광 3
1. 북한관광의 개요 3
2. 관광동기 및 북한관광동기 37

제 3 절 소비성향 42
1. 소비성향의 개념 42
2. 소비성향에 관한 선행연구 44

제 4 절 경제적 가치 48
1. 경제적 가치 개념 48
2. 경제적 가치평가방법 5
3. 조건부가치평가법(CVM) 55

제 3 장 연구 설계 65
제 1 절 연구과제 65
제 2 절 조사 설계 66
1. 표본설계 및 분석방법 66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67
3. 설문조사 방법 68

제 4 장 실증분석 74
제 1 절 기초통계분석 74
1. 표본의 특성 74
2. 관광전용열차의 인식도 76
3. 관광전용열차 여행상품에 대한 구매의도 78
4. 가치평가 제시금액 요약 79
5. 북한관광동기 요인분석 80
6. 소비성향 요인분석 82

제 2 절 북한관광열차 가치추정 85
1. CVM 모형추정 85


제 5 장 결론 9
제 1 절 연구결과 요약 9
제 2 절 연구의 시사점 94
제 3 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98


참고문헌 99

설문지 109

ABSTRACT 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