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위

  • HOME
  • 논문
  • 학위

북한 철도 정책과 남북협력

North Korean Railway Policy and Inter-Korean Cooperation

상세내역
저자 김동혁
학위 박사
소속학교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전공 통일학과 통일학 전공
발행연도 2019년
쪽수 215
지도교수 김연철, 서지적
키워드 #북한 철도 정책   #3대 수송   #집중수송   #짐함수송   #연대수송   #집중수송체계   #남북철도협력   #공업지구   #경제특구   #경제개발구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목적과 내용
제2절 연구범위와 방법 4
제3절 선행연구 분석 6

제2장 북한 철도의 기본 운영체계 구축(1945-1960년대) 12
제1절 정세 변화에 따른 철도의 복구와 재편 반복 12
1. 해방 후 과도기에서 철도의 성격 변화 12
2. 전시동원체제로의 전환과 전쟁 피해 복구 14
3. 지역균형 및 지역 특성화 공업 발전의 토대 형성 17
4. 지역균형과 공업화 본격 추진 22
제2절 당적 지도 체계 구축에 따른 철도 정책 변화 25
1. 내부 예비 동원과 증산 25
2. 지방 당위원회와 철도 부분 당 단체와의 관계 28
3. 철도 부문의 ‘천리마운동’과 ‘천리마작업반운동’ 3
4. 철도 운수의 ‘군대식 운영’ 변화 과정 33
제3절 공업생산력 재배치와 철도 운수망 변화 37
1. 일제식민지 시기 대륙침략과 자원수탈용 공업지구 형성 37
2. 공업생산력 재배치와 공업지구 형성 계획 39
제4절 소결 44

제3장 경제건설 기본 동력으로서 ‘3대 수송’ 체계 확립
(1970-80년대) 46
제1절 ‘3대 수송’ 체계 형성 배경 47
1. 인민경제계획의 차질과 부문 간 불균형 47
2. 철도 ‘수송의 긴장성’ 반복과 누적 49
3. ‘수송혁명 200일 전투’와 ‘3대 수송’ 방침 53
1) ‘수송혁명 200일 전투’ 53
2) ‘3대 수송’ 방침 55
제2절 ‘3대 수송’: 집중수송, 짐함수송, 연대수송 56
1. 집중수송: 서부집중형, 동부집중형, 동-서부연결형 57
1) 서부집중형 6
2) 동부집중형 80
3) 동-서부연결형 97
2. 짐함수송, 연대수송 100
1) 짐함수송 100
2) 연대수송 104
3. ‘3대 수송’과 집중화물역 배치 105
1) 평양철도국-평양중심 X자형 106
2) 사리원철도국-사리원중심 가지형 108
3) 개천철도국-신안주중심 Y형, 개천중심 일자형 11
4) 함흥철도국-해안선중심형 113
5) 청진철도국-접경지, 해안, 내륙 혼합형 115
4. 철도화물수송의 변화와 특징 117
1) 시기별 철도화물수송량 변화 117
2) 화물 품종별 화물수송량 변화 119
3) 지역 및 철도국 별 철도화물수송 비중 120
4) 집중수송체계의 화물수송율 한계: 빈차주행율 122
5) ‘3대 수송’과 집중화물역 배치의 특징 128
제3절 1980년대 대규모 건설사업 및 공업지구 형성과 집중수송 129
1. 1980년대 대규모 건설사업과 집중수송 130
2. 공업지구 형성과정과 집중수송 133
1) ‘군’단위에 기초한 공업지구의 균형배치 133
2) ‘사회주의 경제건설 10대전망’과 5개 지구전선 건설 135
3) 공업지구 형성과 ‘3대 수송’ 137
제4절 소결 14

제4장 북한 경제 위기 이후 변화와 남북철도협력(1990년대 이 후) 144
제1절 북한 경제위기와 이후 교통체계 변화 요인 144
1. 1990년대의 북한의 경제위기: 3년 완충기와 ‘고난의 행군’ 144
2. 1990년대 북한의 에너지 수요와 공급의 변화 146
3. 선군시대 경제건설노선 등장과 시장경제 148
제2절 1990년대 이후 북한 철도 정책의 변화 149
1. 1990년대 철도 정책 149
2. 2000년대 철도 정책 154
제3절 경제특구 및 경제개발구 추진과 남북철도 연계 구상 164
1. 경제특구 및 경제개발구: 지역균형발전 164
2. 경제특구 및 경제개발구와 남북철도 연계 구상 167
제4절 남북철도협력 경과와 전망 17
1. 남북철도협력 경과 17
1) 남북 간 협력의 기초 형성 17
2) 남북협력: 철도연결 추진 경과 173
2. 남북철도협력 활성화 전망 185
제5절 소결 192

제5장 결론 195

【참고문헌】 200

ABSTRACT 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