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동기 3
3. 연구 문제와 연구 내용 5
4. 선행연구 탐색 6
Ⅱ. 이론적 논의 14
1. 학교통일교육 14
1.1. 학교통일교육 개념 14
1.2. 찾아가는학교통일교육 15
1.3. 통일교육 협업 23
2. 상호문화성과 상호문화교육 27
2.1. 상호문화성과 상호문화주의 27
2.2. 상호문화적 타자성 31
2.3. 타자중심적 상호문화교육 34
3. 소결 45
Ⅲ. 연구방법 49
1. 연구 개요와 절차 49
1.1. 연구 개요 49
1.2. 연구 절차 52
2. 연구자와 연구참여자 59
2.1. 연구자 59
2.2. 연구참여자 63
3. 자료수집과 분석 66
3.1. 자료 수집 66
3.2. 자료 분석 82
4. 연구 윤리 84
Ⅳ. 통일교육 강사의 협업 경험 87
1. 신체성 89
1.1. 공명과 합심 89
1.2. 협력하는 한 몸 94
1.3. 긴장과 갈등 102
2. 시간성 109
2.1. 대화하고 소통하려는 현재 109
2.2. 통일 미래의 선취 113
3. 공간성 115
3.1. 서로 보완하는 장소 115
3.2. 협업으로 가는 길 119
4. 관계성 122
4.1. 공유와 배려의 선순환 122
4.2. 더불어 같이 하는 관계 127
4.3. 불만과 대안 모색 130
5. 소결 139
V. 통일교육 협업 경험의 상호문화교육적 의미 142
1. 타자와의 협업 이해 143
1.1. 타자에 대한 이해 143
1.2. 협업을 위한 과정 146
1.3. 연결된 신체성 인식 149
1.4. 서로주체성을 깨달음 154
2. 성찰과 소통 의지 157
2.1. 자기 성찰 157
2.2. 소통을 위한 노력 160
2.3. 갈등 극복 의지 163
2.4. 상호작용 중시 164
3. 상호문화적 공존체 실천 167
3.1. 상호문화역량 167
3.2. 반(反)편견 능력 170
3.3. 연대 관계 실천 173
3.4. 공존체 지향 175
4. 소결 177
Ⅳ. 결론 179
1. 요약 179
2. 논의와 제언 181
참고문헌 189
ABSTRACT 202"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