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 목적 1
제2절 연구범위와 방법 6
제2장 북한체제의 ‘변화론’과 체제변화 사례 유용 13
제1절 북한체제의 성격규명과 변화가능성 분석 13
1. 분석대상 및 수준으로서의 북한체제 13
2. 북한 정치체제의 성격과 구조적 특징 16
1) 북한 정치체제의 성격 16
2) 북한체제의 구조적 특징 20
3. 북한체제의 변화 가능성 23
제2절 북한 체제변화에 관한 이론적 고찰 29
1. 혁명이론 29
1) 혁명이론의 특성과 흐름 29
2) 혁명에 대한 새로운 해석 34
2. 체제변화 이론 37
1) 체계론적 접근 37
2) 체제적응 이론 38
3) 체제붕괴 이론 39
4) 수렴 이론 40
3. 북한 체제변화 이론에 주는 의미 40
제3절 사회주의와 독재국가의 체제변화 사례 유용 42
1. 사회주의 국가의 체제변화 유형과 경로분석 42
1) 위로부터 급진적 이중전환형 43
2) 아래로부터 급진적 이중전환형 46
3) 위+아래(타협)부터 급진적 이중전환형 49
4) 위로부터 점진적 단일전환형 50
2. 중동 민주화혁명에 의한 체제변화 유형과 경로분석 55
1) 아래로부터 급진적 정권교체형 56
2) 아래+외부압력으로부터 급진적 정권교체형 58
3. 북한 체제변화와의 비교와 주는 의미 60
1) 북한 체제변화와의 유사점과 차이점 비교 60
2) 북한 체제변화에 주는 의미 68
제3장 북한의 체제변화 유형과 경로 72
제1절 체제변화에 관한 일반적 개념 72
1. 체제변화의 개념 72
2. 체제변화의 요인 75
3. 사회주의 체제의 유형과 변화경로 76
제2절 북한 체제변화의 의미와 수준 83
1. 북한 체제변화의 이해 83
2. 김정은 정권의 대내외 추진정책과 내부정세 분석 86
3. 북한 정세분석을 통한 체제변화의 촉발요인 식별 90
제3절 북한의 체제변화 유형과 경로분석 틀 96
1. 북한의 체제변화 유형 96
1) 위로부터 변화 99
2) 아래로부터 변화 103
3) 위+아래(타협)로부터 변화 104
4) 외부압력에 의한 변화 104
2. 북한의 체제변화 유형과 경로에 대한 개념적 연구모형 106
3. 북한의 체제변화 가능성 있는 유형과 경로 분류 109
제4장 북한의 체제변화 유형과 경로에 관한 델파이 기법적용 112
제1절 북한의 체제변화 유형과 경로 분석구조 : 델파이 분석 112
1. 연구 분석방법 선정 112
2. 델파이 분석 준비 및 절차 113
1) 설문조사 대상자 선정 113
2) 설문지 작성 114
3) 델파이 설문조사 및 분석방법 115
3. 델파이 조사결과 분석 116
1) 1차: 북한의 체제변화 유형과 경로에 대한 가능성정도 조사 116
2) 2차: 1차 설문결과에 대한 재 추정 123
제2절 델파이 분석결과 가능성 높은 유형과 경로별 평가 125
1. 위로부터 급진적 단일 체제변화형 125
2. 아래+외부압력(R2P)에 의한 급진적 단일 체제변화형 129
제3절 보호책임(R2P)의 북한에 적용가능성 분석 133
1. 대규모 비인도적 사태 발생가능성 133
2. 현재의 북한에 보호책임(R2P) 적용의 한계와 문제점 137
3. 북한 유사시 보호책임(R2P) 적용가능성 분석 140
4. 북한 유사시 UN의 보호책임(R2P) 결의안 채택가능성 143
5. 북한 유사시 개별국가의 무력개입 영향요소 144
제5장 북한 체제변화에 대비한 안보적 대응방안 148
제1절 북한 체제변화에 대한 단계별 대응방안 148
1. 정부의 대응원칙 148
2. 북한의 개혁개방을 통한 체제변화 단계 149
3. 북한의 체제변화과정에서 극심한 정치·사회적 혼란단계 151
4. 북한 내 내전 발생단계 153
제2절 북한의 체제변화 유형별 대응방안 156
1. 위로부터 급진적 단일 체제변화형 156
2. 위로부터 급진적 이중 체제변화형 161
3. 아래+외부압력(R2P)에 의한 급진적 단일 체제변화형 165
제6장 결 론 174
참고문헌 178
부 록 191
Abstract 206"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