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5
제2장 통일정책 규범화와 통일백서의 구조 및 서베이 8
제1절 통일정책 규범화의 기본원칙 8
1. 통일정책 규범화의 필요성 8
2. 정부의 통일정책 변화과정 11
3. 남북관계 규범화의 기본원칙 17
제2절 통일백서의 구조와 내용 21
1. 정부의 통일정책 기조와 정책추진 방향 21
2. 남북 교류협력 23
3. 남북간 인도적 문제 25
4. 남북대화 27
5.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27
6. 통일교육 28
7. 정책추진 기반 강화 30
제3절 서베이 31
1. 설문내용 31
2. 응답자 특성 32
제3장 정부의 통일준비 실체에 대한 인식과 평가 38
제1절 정부의 통일정책에 대한 국민 인지도 38
1. 통일준비위원회에 대한 인지도 38
2.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에 대한 인지도 42
제2절 정부의 통일 정책에 대한 평가 48
1. 통일준비위원회에 대한 평가 48
2. 통일 대박 비전 제시에 대한 평가 52
3. 정부의 통일외교 역량에 대한 평가 56
제4장 대북정책 및 남북 기본관계에 대한 의견 62
제1절 남북교류 협력에 대한 평가 : 개성공단 등 62
1. 남북교류협력 사업으로서 개성공단 등에 대한 평가 62
2. 나진-하산 물류사업 참여에 대한 평가 67
3. 개성공단 발전적 정상화 및 국제화에 관한 평가 71
4. 개성공단 입주기업에 대한 금융; 세제 등 투자지원에 대한 평가 77
제2절 남북대화 및 인도적 문제에 대한 평가 82
1. 이산가족 상봉행사에 대한 정부의 정책 평가 82
2.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정부의 정책 평가 86
3. 남북 고위급 접촉과 군사 당국자 접촉에 대한 평가 90
4. 남북한 사회 문화 교류 정책 추진사업에 대한 평가 96
제3절 북한이탈주민 정착 지원에 대한 견해 102
1.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국민적 정서 102
2. 북한이탈주민 지원 정책에 대한 평가 106
제5장 통일교육과 정책추진 기반강화에 대한 평가 123
제1절 통일교육에 대한 평가 123
1.통일교육에 대한 국민의 경험 및 인지도 평가 123
2. 통일교육 교재에 대한 국민의 인지도 평가 129
3. 북한정보포털 인지도에 대한 평가 132
제2절 남북한 평화통일에 대한 국민적 정서 136
1. 남북한 평화통일에 대한 국민의 찬반 의견 136
2. 남북한 평화통일의 시기에 대한 의견 146
제3절 통일백서 효용성에 대한 평가 150
1. 통일백서에 나타난 정부의 통일정책 평가 150
2. 통일백서가 국민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 151
제6장 결론 : 종합적 평가 155
제1절 지표로서 『2015 통일백서』 155
제2절 요약 및 평가 158
참고문헌 164
Abstract 201"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