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위

  • HOME
  • 논문
  • 학위

북한이탈주민의 주거이전 동기와 상호지향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idential Moving Motive and Co-orientation Analysis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상세내역
저자 박태행
학위 박사
소속학교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전공 부동산학과 부동산학전공
발행연도 2016년
쪽수 168
지도교수 최민섭
키워드 #북한이탈주민   #주거이전동기   #상호지향성   #다항로지스틱   #UCINET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정착 비율의 증가에 따른 남한 사회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력을 인지하고; 부동산학 관점에서 북한이탈주민의 주거이동 특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북한사회에서 주거에 대한 문제를 크게 고민하지 않았던 북한이탈주민이 남한 사회에서는 심각한 고민으로 작용하고 있는 현실에서 북한이탈주민의 주거이동 원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남북하나재단 소속의 상담사; 남한 정착 10년 이상의 북한이탈주민 및 한국토지주택공사 공공임대주택 담당관과의 1:1 면담조사를 통해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정착 실태 및 주거관 특성들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구조화 된 설문지를 작성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총 706부를 실시하였고 회수한 398부 중 최종 데이터로 309부를 이용하였다. 구축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항 로지스틱분석을 통한 주거이전 선택동기에 관한 실증분석 및 중앙성 분석을 통한 상호지향성 분석을 실시하였고; 다음과 같은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북한이탈주민의 특성별 주거이전 동기에서는 직업; 가족 수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에 의한 주거이전 동기 비율이 높은 것은 경제적인 문제에 기인한 것으로 밝혀졌고; 가족 수에 따라 주거이전 동기 차이에서는 북한이탈주민들이 남한 사회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가족과 지인들과 함께 어울려 살고 싶어 하는 성향이 많은 것에서 이유를 찾을 수 있다.
둘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주거이전 동기와 사회구성원 동기 차이에서는 경제적 문제로 인한 주거이전 선택 동기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차분석 결과에서 나타난 것과 유사하게 북한이탈주민이 주거이전을 선택하게 되는 동기는 경제적인 문제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월 소득이 낮은 북한이탈주민들이 좀 더 좋은 직장을 찾기 위해 직장을 먼저 고려하고 주거지는 나중에 고려하게 되는 상황 등이 모두 경제적인 부분을 우선시하게 되는 것에서 발생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UCINET을 활용한 상호지향성 분석에서는 북한이탈주민도 주거이동의 동기와 의사결정이 가족중심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북한이탈주민의 경제적인 부분이 주거이전에서 중요한 동기로 작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주거이전의 동기가 북한이탈주민에서도 동일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실증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북한이탈주민은 주거이전의 동기에 경제적인 문제가 가장 크게 작용하고 있어 직업 선택을 비롯한 대부분의 선택에서 경제적 문제를 가장 크게 고려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북한이탈주민 중 홀로 거주하는 사람과 가족단위로 거주하는 사람들 모두 남한 사회에서 적응하는 과정에서 현실적으로 남한 사회와의 소통과 화합 문제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에 동질감이 있는 북한이탈주민들끼리 함께 어울려 살려고 하는 성향이 높지만 남한 사회에 정착하기 위한 그들만의 노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3. 연구의 내용 및 구성 5

Ⅱ. 이론적 고찰 8
1. 북한이탈주민의 현황 및 특성 8
가. 북한이탈주민의 개념과 현황 8
나. 북한이탈주민의 주거환경 14
2. 주거이동 및 의사결정 이론 25
가. 주거이동의 특성 25
나. 주거이동의 의사결정과정 27
3. 선행연구 고찰 및 본 연구의 차별성 29
가. 북한이탈주민 관련 연구 29
나. 주거이동 관련 연구 34
다. 상호지향성 관련 연구 36
라. 본 연구의 차별성 38
Ⅲ. 연구설계 40
1. 연구 구성 40
2. 주거이전 동기 모형 42
가. 연구모형 42
나. 변수 선정과 조작적 정의 43
다. 연구가설 설정 57
라. 분석방법 59
3. 상호지향성 분석모형 6
가. 연구모형 6
나. 변수 구성 62
다. 분석내용 64
라. 분석방법 및 절차 67
4. 설문 조사분석 개요 72
가. 면담조사 72
나. 설문지 구성 78
다. 설문조사 실시 79
라. 분석방법 80

Ⅳ. 실증분석 8
1. 표본의 특성 및 차이분석 8
가. 설문응답자 특성 8
나. 북한이탈주민 특성별 차이 분석 83
2. 주거이전 선택 동기 분석 98
가. 주거이전 동기 분석 98
나. 사회구성원 동기 분석 104
다. 주거이전 동기 및 사회구성원 동기 가설검증 결과 108
3. 상호지향성 분석 11
가. 연결정도 중앙성 분석 11
나. 인접 중앙성분석 113
다. 매개 중앙성 분석 115
라. 위세 중앙성 분석 117
마. 중앙성 분석 결과 118
4. 분석결과 논의 120
가. 북한이탈주민의 특성별 차이 분석결과 120
나. 주거이전 동기 및 사회구성원 동기 분석결과 122
다. 상호지향성 분석결과 124
라. 북한이탈주민 주거정책 제안 126

Ⅴ. 결 론 13
1. 연구의 요약 및 시사점 13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138

참고문헌 140
Abstract 145
부록1-전문가 면담조사지 146
부록2-설문지 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