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위

  • HOME
  • 논문
  • 학위

기독교 조직신학의 유추를 통한 북한 김일성 주체사상의 비판적 분석

A critical analysis of North Korea's 'Kim Il Sung Chuche Ideology' by the analogy with christian systematic theology

상세내역
저자 박형식
학위 박사
소속학교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전공 북한정치외교법제전공
발행연도 2016년
쪽수 281 p.
지도교수 조성환
키워드 #북한   #주체사상   #신정정치   #사육정치   #아바타정치   #내관적 접근   #기독교 조직신학   #Avatar 정치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논문은 북한의 지배이데올로기인 주체사상에 대해; 내관적 비판적 분석을 하는 데 목적이 있다. 1945년 8월 대한민국이 36년간 일본의 식민지로부터 해방되었으나; 당시 북한지역은 소련스탈린 점령에 의한 공산주의체제가 수립되어 일당독재; 전체주의; 3대세습에 의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소련은 60년전 이미 스탈린체제를 버렸으나; 북한은 70년동안 리틀스탈린의 체제가 유지되어 오고 있다. 그 중심에 이들의 의식세계를 지배하는 주체사상이 자리잡고 있다.

본 논문은 북한 주체사상에 대해; 형이상학 차원에서 기독교 조직신학이론의 유추 비교를 통해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기독교 조직신학 이론을 통해 나타난 주체사상 문제점은; 주체사상이 기독교 교리를 상당부분 전용하였고; 죽은 김일성김정일을 영원한 수령으로; 김일성은 영원한주석; 김정일은 영원한 총비서와 영원한 국방위원장으로 각각 법제화해이들의 생전 유훈대로 통치되는; 신정정치가 행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현대 정치이론의 유추비교를 통해 나타난 주체사상의 문제점은; 현대 정치적 가치관과는 전혀 다르게; 북한체제가 북한주민을 마치 동물들과 같이 김일성가족 3대의 지시대로 사상대로; 통제되고 행동하도록 강요당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현재 북한은 사육정치; 아바타정치가 김정은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

본 논문의 학술적 의미는 공간적으로 북한주체사상 문제점을 국제정치철학적 문제로; 시간적으로 스탈린시대에 머문 북한체제 의식세계를 현대 정치이론 마당으로; 도덕적으로 북한의 인권유린은 국제사회의 의무로써 ‘정의의 전쟁’ 차원으로 확대할 필요성을 논증하였다. 끝으로 한국정부의 대북정책에서; 북한주민의 정치의식에 대한 학제적인 연구의 필요성도 대두되었다고 사료된다.

주제어 : 북한; 주체사상; 신정정치; 사육정치; 아바타정치; 내관적접근; 기독교 조직신학; Avatar정치;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 목적 1

제2절 연구 범위와 방법 6



제2장 북한 신정정치와 주체사상의 비판적 접근 11



제1절 북한 정치체제의 성격과 ‘신정정치화’ 11

1. 북한 정치체제의 성격 11

1) 북한의 유일․세습 정치체제 11

2) 북한의 신민형 정치문화 14

3) 북한체제의 ‘신정정치화’ 20

2. 북한 신정정치의 구성적 요소 26

1) 신조(信條 creed) 26

2) 의식(儀式 cult) 28

3) 법전(法典 code) 30

4) 공동체(共同體 community) 31

3. 주체사상과 신정정치 33

1) 주체사상 수령론 : 신정정치의 이론적 교리(신조) 33

2) 공포정치 : 신정정치의 물리적 수단 35

제2절 북한 주체사상의 비판적 분석틀 38

1. 주체사상의 지배이데올로기 기능비판 38

2. 주체사상에 대한 기독교 조직신학 유추를 통한 비판적 분석 39



제3장 북한 주체사상의 변용과 텍스트 분석 41



제1절 북한의 지배이데올로기 41

1. 소비에트 이데올로기 도입 41

2. 마르크스․레닌주의 41

3. 주체사상의 이데올로기적 성격과 기능 42

제2절 북한 주체사상의 형성과 변용 47

1. 주체사상의 형성 47

2. 주체사상의 변용 49

1) 지도원칙 전개과정 49

2) 이론 체계화 과정 50

3) 김일성김정일주의 정립과정 51

제3절 주체사상의 텍스트 분석 53

1. 북한의 내재적 시각 53

1) 사례 1 : 북한 광명백과사전(철학) 게재 내용 53

2) 사례 2 : 북한 김일성종합대학 『주체철학』 교재 내용 54

2. 북한 ‘주체철학’의 원전분석 : 목차와 내용 분석 56

1) 김일성종합대 교재『주체철학』단행본 관련 내용 56

2) 분석에 활용된 북한『주체철학』(대학용) 단행본의 목차 58

3) 기타 참고 비교용; 북한발행 ‘주체사상’ 단행본 목차 59

4) 북한 발행『주체철학』(대학용) 주요 내용 60

5) 북한『주체철학』책자구성과 논지전개 특징 71

3. 김정은체제와 주체 이데올로기 72

1) 북한 사회주의헌법․노동당규약에 포함된 주체사상․선군사상 72

2) 김정은; ‘김일성김정일주의’ 제시 74

4. 북한주장 주체사상; 주체철학의 문제 : 철학인가; 이데올로기인가? 75



제4장 기독교 조직신학의 유추를 통한 북한 김일성 주체사상의 비판적 분석 78



제1절 북한의 종교에 대한 입장 78

1. 김일성의 기독교 체험 78

2. 종교에 대한 소위 김일성「교시」․김정일「말씀」 81

3. 종교에 대한 북한 노동당규약; 사회주의헌법; 철학사전 내용 84

4. 북한내 위장 종교시설; 노동당 산하 종교단체 90

제2절 주체사상과 기독교간 유사성과 공존 주장; 공동체생활 비교 91

1. 전체주의; 공산주의 국가들의 종교의 정치적 이용 사례 91

1) 전체주의; 공산주의 국가들의 종교의 정치적 이용 91

2) 전체주의; 공산주의 국가들의 종교의 정치적 사례 95

2. 북한의 주체사상과 기독교 간의 유사성과 공존의 주장 : 통일전선 98

3. 주체사상과 기독교공동체 비교 : 김일성김정일주의연구실과 교회 101

제3절 북한 주체사상 비판 : 기독교 조직신학의 유추(내용분석) 107

1. 신론(Doctrine of God)과 주체사상 ‘김일성 신성(神性)’ 등 108

1) 호칭(呼稱)․지칭(指稱)과 김일성김정일 호칭 109

2) 지위(地位)․역할(役割)과 ‘김일성김정일 지위․역할’ 111

3) 성지(聖地)와 ‘김일성김정일김정은 현지지도’ 112

4) 은혜(恩惠)와 ‘수령님 은혜’ 113

5) 10계명(十誡命)․권위와 ‘10대원칙; 김일성김정일 권위’ 114

6) 기적(奇蹟)과 ‘김일성김정일 신화’ 118

7) 집단행동(集團行動)과 ‘집단적 광신주의(狂信主義)’ 121

2. 인간론(Authropology)과 주체사상 ‘인간’ 등 122

1) 원시상태 인간과 ‘주체철학의 근본문제’ 124

2) 죄의 상태에 있는 인간과 ‘사람에 대한 주체적 리해’ 126

3) 하나님은혜 가운데 있는 인간과 ‘주체사상의 지도적원칙’ 127

4) 편무언약(片務言約)과 ‘김일성․김정일 일방적 지시명령’ 130

5) 자유의지(自由意志)와 ‘주체사상의 강제성’ 131

3. 기독론(Christology)과 주체사상 ‘수령론’ 등 132

1) 말씀; 하나님 성품; 신성(神性)과 김일성김정일김정은 ‘수령’ 134

2) 인성(人性)․인자(人子)와 ‘김일성인성; 수령론 수령역할’ 137

4. 구원론(Soteriology)과 주체사상 ‘인간개조’ 등 142

1) 해방신학(解放神學)과 ‘사람에 대한 주체적 리해’ 143

2) 구원(救援)의 서정(序程)과 ‘인간개조론’ 147

5. 교회론(Ecclesiology)과 ‘수령 당 대중 통일체’ 등 159

1) 교회존재․교회공동체와 ‘수령 당 대중 통일체’ 160

2) 은혜수단․성경말씀과 ‘김일성김정일주의; 사회주의헌법’ 167

3) 성례(聖禮)와 ‘김일성김정일김정은의 체제차원 우상화’ 178

6. 종말론(Eschatology)과 주체사상 ‘김일성김정일 영생’ 등 183

1) 영생(永生)과 ‘수령이 영생하는 사회정치적생명을 부여’ 185

2) 육체의 부활과 ‘금수산태양궁전 김일성김정일 영생홀’ 188

3) 3위일체(三位一體)․재림(再臨)과 ‘수령김일성김정일김정은승계’ 192

제4절 주체사상의 신정정치․사육정치․아바타(Avatar)정치관련 탈북민 증언사례 197

1. 사례 1 : 신정정치(Theocracy) 197

2. 사례 2 : 사육정치(Breeding Politics); 아바타(Avatar)정치 202



제5장 주체사상의 교육과 북한주민 정치의식 조사분석 209



제1절 주체사상에 대한 북한의 정치의식 교육 209

1. 통치적 측면 209

1) 김정일의 주체사상지도원칙에 대한 지시 내용 209

2) 김정일의 주체사상 교육강화 지시내용 211

2. 피통치적 측면 : 정치의식 교육내용 212

제2절 북한주민의 정치의식 215

1. 정치의식 의미 215

2. 북한주민의 정치의식 215

제3절 북한주민의 정치의식에 대한 설문조사와 분석 218

1. 조사목적․조사개요 218

1) 조사목적 218

2) 조사개요 218

2. 사회인구학적 배경 220

3. 설문조사 분석결과 222

1) 김일성‧김정일·김정은 체제간 비교 222

2) 김정일·김정은체제간 비교 224

3) 김정일체제하 정치의식 교육내용 비교 227

4) 김정은체제에 대한 정치의식 227

5) 주체사상 교육에 대한 잠재의식 231

4. 설문결과 종합분석 233



제6장 결론 235



참고문헌 241

부록(탈북민을 통해 본 김정은체제하 북한주민들의 정치의식 설문조사) 251

Abstract 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