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4
3. 연구방법론 5
Ⅱ. 평화프로세스의 이론적 검토 7
1. 평화의 개념과 필요성 7
1) 평화의 개념 7
2) 평화의 필요성 10
2. 평화의 구축과 확대 13
1) 평화의 구축 13
2) 평화의 확대 18
3. 평화프로세스의 개요 21
1) 평화프로세스의 개념 21
2) 평화프로세스의 절차 24
(1) 목표와 원칙의 수립 24
(2) 단계별 평화프로세스 25
4. 선행연구 검토 30
1) 선행연구의 현황 30
(1) 안중근 연구의 현황 30
(2) 동양평화론 연구의 현황 32
2)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차이점 35
Ⅲ. 안중근 평화프로세스의 모형정립과 동북아 평화 36
1. 안중근의 생애와 사상 36
1) 안중근의 생애 36
(1) 가계 36
(2) 생애 38
(3) 안중근의 구국활동 42
2) 안중근의 사상 45
(1) 안중근 사상의 배경 45
(2) 안중근의 사상 49
2. 안중근 평화프로세스의 모형정립 52
1) 안중근 평화프로세스의 개요 52
(1) 안중근 동양평화론의 개요 52
(2) 안중근 평화프로세스의 개요 67
2) 안중근 평화프로세스의 모형정립 77
(1) 구조모형과 프로세스모형 77
(2) 안중근 평화프로세스의 모형정립 78
3. 안중근 평화프로세스와 동북아 평화정착 86
1) 동북아 평화의 필요성과 제약요인 86
(1) 동북아 평화의 필요성 86
(2) 동북아 평화의 제약요인 89
2) 동북아의 개념과 현황 94
(1) 동북아의 개념 94
(2) 동북아 국가 관계의 현황 96
3) 안중근 평화프로세스 모형을 적용한 동북아 평화정착 103
(1) 동북아 평화정착의 단기 프로세스 103
(2) 동북아 평화정착의 장기 프로세스 107
4) 소결론 110
Ⅳ. 안중근 평화프로세스와 한반도 112
1. 안중근 평화프로세스와 한반도 통일 112
1) 한반도 통일의 필요성과 제약요인 112
(1) 한반도 통일의 필요성 112
(2) 한반도 통일의 제약요인 116
2) 주변국별 한반도 정책의 현황 121
(1) 미국 121
(2) 중국 122
(3) 러시아 125
(4) 일본 127
3) 안중근 평화프로세스 모형을 적용한 한반도 통일 128
(1) 한반도 통일의 단기 프로세스 129
(2) 한반도 통일의 장기 프로세스 132
4) 소결론 135
2. 안중근 평화프로세스와 박근혜 정부의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137
1)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개요 137
(1)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배경 137
(2)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내용 140
2)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현황 144
(1) 2013년 남북관계와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144
(2) 2014년 남북관계와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147
3) 안중근 평화프로세스와의 비교 150
4)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에 대한 정책적 함의 154
Ⅴ. 요약 및 결론 159
참 고 문 헌 166
ABSTRACT 177"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