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6
제2장 통일 이후의 조세체계 수립 및 개편의 문제의식 11
제1절 통일 이후의 조세체계 논의의 필요성과 선행 연구 11
1. 통일 이후의 조세체계 논의의 필요성 11
2. 통일 이후 북한 지역의 조세체계 선행 연구 13
3. 통일 이후 남한 지역의 조세체계 선행 연구 21
제2절 남북한의 조세체계 비교 25
1. 남북한 조세체계 변천과 현재 25
2. 북한의 조세체계 33
3. 남한의 조세체계 51
4. 남북한 조세체계 비교 분석 60
제3절 통일 이후 세제병립 필요성과 논거 62
1. 통일 이후 남한의 조세체계 북한지역 적용 시의 문제 62
2. 통일 이후 북한의 조세체계 남한지역 적용 시의 문제 67
3. 통일 이후 세제 병립 논거와 고려사항 69
제3장 세제 병립 논거로서 1국 2조세체계 사례 분석 73
제1절 중국 본토와 홍콩의 상이한 세제 운영으로부터의 논거 73
1. 중국 본토와 홍콩의 사례와 비교 73
2. 중국의 세제 분석과 비교 77
3. 홍콩의 세제 분석과 중국 본토와의 비교 94
4. 1국 2지역 2세제 운영에서의 논거 100
제2절 EU역내 국가들의 상이한 세제 분석과 비교 106
1. EU역내 국가들 사례의 중요성 106
2. 독일의 세제 분석과 비교 109
3. 영국의 세제 분석과 비교 119
4. 폴란드의 세제 분석과 비교 128
5. 역내 다양한 세제 병립에서의 논거 133
제3절 미국 주정부들의 상이한 세제 분석과 비교 139
1. 미국 주정부들의 상이한 세제 비교의 중요성 139
2. 미국 주정부들의 세제 분석과 비교 140
3. 통일성과 다양성이 공존하는 세제에서의 논거 158
제4장 통일국가 형태별 1국 2조세체계 수립 가능성 분석 163
제1절 조세제도 수립의 변수인 통일 이후 국가 형태 연구 163
1. 통일국가 형태 분류 필요성 163
2. 남북한의 통일 정책에서 제시되는 통일국가 형태 164
3. 통일을 이룩한 국가들에서 발견되는 통일국가 형태 171
4. 현존 국가 및 “국가결합”들 사례에서 예상되는 통일국가 형태 173
5. 통일국가 형태에 대한 선행 연구 검토와 예상 175
제2절 경제활동 관점에서의 통일 국가 형태 분류와 그 사례 187
1. 경제활동 관점의 국가 형태 분류 187
2. “1국양제(一國兩制)” 189
3. “연합” 190
4. “연방” 또는 “단일” 191
제3절 통일국가 형태별 1국 2조세체계 수립 가능성 분석 191
1. 통일 이후 지역별 상이한 조세체계 시행 문제 제기 191
2. “1국양제”형의 경우 192
3. “연합”형의 경우 194
4. “연방”형 또는 “단일”형의 경우 196
제5장 통일 이후 지역별로 적합한 조세체계 적용 방안 199
제1절 조세체계 설계 199
1. 국가 조세체계의 목적 199
2. 적합한 조세 방법 201
3. 지대조세제 근간의 조세체계 북한 지역 적용 근거 202
제2절 지대조세제 근간의 조세체계 북한 지역 적용 시 보완사항 207
1. 서로 다른 조세체계 하의 지역 간 거래에 대한 부과 207
2. 지역 간 상이한 체계를 이용한 부과 회피 방지 208
3. 증여, 상속에 대한 부과 208
4. 통관 시의 부과 209
5. 축적된 자본에 대한 부과 209
6. 특정 소비 품목에 대한 부과 210
7. 사이버산업과 전자상거래에 대한 부과 211
8. 특정 규모 이상의 소득에 대한 부과 211
제3절 지대조세제 근간의 조세체계 북한 지역 적용 대안 212
1. 지대 개념의 분석과 현대적 적용 212
2. 지대조세제 근간의 조세체계의 재정 충분성 분석 213
3. 부과 저항 가능성 분석 213
4. 적정한 지대 부과 제도 설계 214
제6장 결 론 215
참 고 문 헌 219
Abstract 232"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